신종플루 감염에 대한 우려가 급속히 확산되는 가운데 플라즈마를 이용한 환경오염물 정화장치 관련 특허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플라즈마는 고체, 액체, 기체와 더불어 물질의 제4상태라 불리며 친환경분야를 비롯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핵융합, 국방, 의료, 우주분야 등에 널리 이용 중이다.
6일 특허청(청장 고정식)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 플라즈마를 이용한 특허출원 건수는 총23건으로 지난해 전체 출원건수 34건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0년간 플라즈마를 이용한 환경오염물 정화장치 관련 출원이 총 335건이 출원된 가운데 해마다 출원 횟수가 감소추세였으나 지난해부터 녹색환경의 중요성 증가와 더불어 출원이 증가세로 돌아섰다.
10년간 플라즈마를 이용해 출원한 특허 기술분야로는 공기 살균, 멸균, 소독, 탈취, 집진, 다이옥신 제거 등을 위한 공기정화 장치 관련 출원이 171건(51%)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오염물질의 표면세정과 관련된 출원이 107건(32%),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출원이 57건(17%)의 순서로 조사됐다.
공기정화 장치 관련 출원 171건 중 공기나 바이러스를 멸균하거나 살균과 관련된 출원 외에도 자동차 또는 발전소 배출가스, 다이옥신과 같은 배기가스와 같은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친환경분야 출원도 29건인 것으로 조사됐다.
출원인별로 살펴보면, 개인 발명가에 의한 출원이 119건(36%)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중소기업 87건(26%), 외국인 52건(16%), 대기업 45건(13%), 대학&연구기관이 32건(9%)의 순서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정부를 비롯한 산학연은 지구 녹색환경 조성을 위한 친환경 국내기술의 보호 및 육성을 위해 외국기업보다 한발 앞서 고부가가치의 친환경 제품의 기술력을 조기에 확보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우수특허 발굴 및 특허포트폴리오 구축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kr
전자 많이 본 뉴스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