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민간 발주 프로젝트 민간 소유권 부여 추진

 정부 발주 프로젝트에 대해 민간이 지적 재산권을 공동 소유할 수 있는 문제를 정부가 전향적으로 검토에 들어갔다.

 이 사안이 채택될 경우 정부 프로젝트에 대해 민간이 기술 응용뿐만 아니라 직접 해외에 수출 목적으로 들고나갈 수 있게 된다. 그동안 민간에서는 정부 프로젝트에 대해 공동소유를 할 수 없어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을 해왔다.

 12일 복수의 정부 및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10일 한승수 국무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서울 구로동 서울벤처인큐베이터에서 열린 벤처업계와의 비공개 간담회에서 한 총리는 정부 발주 프로젝트 지적 재산권 민관 공동소유 문제에 대해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당시 자리에 함께한 임채민 지식경제부 차관도 “내부적으로 고려하고 있던 사안으로 민간의 의견 수렴해 결정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민관 매칭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민관 공동으로 소유할 수 있지만 정부 전액 출자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민간에서는 용역비만 받고 모든 지적재산권은 정부에 귀속된다.

 이 때문에 민간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시스템 또는 솔루션에 대해 추가적인 노하우와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정부도 이 기술을 활용해 수출에 나서지만 실적을 얻는데 한계를 겪어 왔다.

 특히 IT서비스 프로젝트의 경우 지적재산권 문제 등으로 수출하는 데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어왔다. 의견을 개진한 강관식 아토정보기술 사장은 “대기업이 지원해 개발한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대부분 공동소유 형태”라며 “무엇보다 시스템이나 솔루션 수출의 경우 정부보다는 직접 기술을 개발한 민간이 하는 것이 옳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 3월 경기 활성화를 위해 규제를 일정기간 유예하는 ‘한시적 규제유예’에 대해 현장에서의 체감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측에서는 한 총리, 임채민 차관, 홍석우 중기청장, 박봉규 산업단지공단 이사장 등이 참석했으며 민간에서는 서승모 벤처기업협회장, 이영남 이지디지털 대표, 강관식 대표 등 9명이 나왔다.

 김준배·장윤정기자 joo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