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0907/090708055839_927053530_b.jpg)
최근 심화하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한편 기후변화를 기정 사실로 인정하고 이에 적응하기 위한 전략적 연구 및 정책지원을 수행할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KACCC·센터장 박용하)가 8일 문을 열었다.
센터는 작년 말 제 6차 기후변화대책위원회(위원장 한승수 국무총리)에서 확정된 ‘국가 기후변화 적응 종합계획’에 따라 설립된 환경부 비법정조직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가 설립 및 운영을 담당한다.
주요 업무로는 △기후변화 적응 정책 지원 및 적응도구 개발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지원 △국내 기후변화 적응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기후변화 적응 국제협력 및 협상지원 등을 수행하게 된다.
현재 기상청·국립환경과학원·국립농업과학원·국립산림과학원·국립수산과학원 등 17개 기관들을 센터 협력기관으로 참여 중이며, 상호 정보교환과 협력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기후변화 적응 정책 개발과 이행 지원은 특성상 여러 분야의 전문지식이 필요하므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합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박용하 센터장에 따르면 차원의 적응 대책 수립 및 추진이 시급하다는 요구에 따라 설립된 기후변화적응센터는 센터장 이하 3팀 체제에서 앞으로 기후변화 적응 정책 지원연구 수요 등을 감안, 2실 5개팀, 1지원체제로 확대될 예정이다.
2010년까지 기후변화적응센터의 기반을 구축하고 2012년에는 한반도 기후변화적응 프로그램을 구축한다는 중기 비전도 이날 제시됐다. 이후 2018년에는 기후변화 적응을 선도하는 세계 일류 기관으로 발돋움한다는 복안이다.
박태주 KEI원장은 환영사에서 “한반도 기후변화 진행속도는 세계 평균을 상회하고 있어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적응센터를 마련한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며 “센터에서 수행하는 모든 연구와 개발은 현실과 정책에 직접 연계되고 반영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만의 환경부 장관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별로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법과 탄소 저감프로젝트, 기후변화 적응이라는 3개의 난제가 있다”며 “이 중에서도 이미 달라진 지구환경에 어떻게 적응하느냐는 눈 앞에 놓인 과제고, 센터는 이에 대한 해법을 찾는 전문가 집단”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KEI은 이날 서울 불광동 본원 대강당에서 이만의 환경부 장관, 김영선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 박태주 KEI 원장 등의 내외빈과 협력기관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개소식을 갖고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
유창선기자 yuda@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