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처리기 도입 방법을 놓고 각 지자체가 갑론을박이다.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다른 쓰레기에 비해 악취 및 내용 면에서 처리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퇴비나 사료 등으로 자원화할 수 있는 특수 처리가 필요해 기술 및 비용문제가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16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안을 두고 개별 가정 설치와 공동주택에서 함께 사용하는 공동화기기 등 두 가지 방안을 놓고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서울 서초구, 은평구 등은 음식물처리기 업체와 손잡고 각 가정에 음식물 처리기를 설치할 때 최대 20만 원까지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법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대응하고 있다. 이들 지자체는 모든 가정에 설치를 의무화할 수는 없으나 각 가정이 원할 경우 설치비를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서초구의 경우 지난 1일부터 사흘간 국내 업체 30여 개가 참여한 가운데 ‘음식물쓰레기 감량 기기 전시 및 시연회’도 열어 적극 홍보 중이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단체로 사용하는 ‘공동화 기기’를 고려하는 지자체도 있다. 강남구의 경우 지난해까지 서초구와 비슷하게 각 개별 가정에 음식물 처리기 설치 도입을 고려하다 올해 전면 백지화했다. 개별 가정 설치시 전력 소비가 지나치게 많게 일어나며 각 가정 소음 발생으로 인해 민원 등이 발생할 것을 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남구청 측은 “20만 세대에 최대 20만 원씩 지원하게 되면 400억은 투자해야 되는데 비용문제로 인해 백지화했다”라며 “공동화기기가 전력소비가 적을 뿐 아니라 퇴비나 사료 등으로의 자원화에도 보다 쉽다고 해 그쪽으로 깊이 있게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울산시 남구는 이보다 한발 더 나아가 신축되는 단독·공동주택에 음식물 쓰레기 감량 기기 설치를 의무화하는 조례를 지난 2월 전국에서 처음으로 제정했다. 특히 이 같은 정책을 벤치마킹하기 위한 움직임도 일고 있다.
각 지자체의 이런 움직임과 관련해 업계는 새로운 판매 활로가 열렸다며 반색을 표하고 있다. 일부 업체의 경우 각 아파트 부녀회나 단체 등을 통해 물밑 작업에 들어갔다.
한 업계 관계자는 “대형 수주 시장이 열리는 셈이라 모든 업체가 각 지자체의 움직임을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지속적인 수요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성현기자 argos@etnews.co.kr
전자 많이 본 뉴스
-
1
신세계그룹, 계열 분리 공식화…정유경 ㈜신세계 회장 승진
-
2
산업부 “체코 반독점당국 원전계약 일시보류, 진정 절차일 뿐”
-
3
삼성전자, 'HBM4·2나노'에 승부수
-
4
프랜차이즈 이중가격제 '확산'…SPC 배스킨라빈스도 검토
-
5
삼성전자, 3분기 반도체 영업익 3.9조원…전사 매출은 분기 최대치
-
6
얇게 더 얇게…내년 갤S25 vs 아이폰17 슬림폰 맞대결
-
7
SK하이닉스 'HBM 독립사업부' 만드나
-
8
2026년도 국가 R&D 예산안 연내 준비
-
9
한국공학대, 세계 최초 다이아몬드 트랜지스터 개발 성공
-
10
티맵 '어디갈까', 출시 한 달 사용자 500만 돌파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