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특집]대학 산학협력단-서울대학교

Photo Image

 서울대학교는 국내 대학 최초로 2003년 산학협력 특허법인인 서울대 산학협력재단(단장 국양 연구처장 snuif.snu.ac.kr)을 설립해 산학협력단의 선구자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교내 연구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산업체로의 기술확산 및 기술 사업화를 위해 시작한 지식재산 관리, 기술이전 등의 사업은 국내 산합 협력을 대학의 지식재산권을 ‘자산’으로 인식하게 만든 계기로 평가받고 있다.

서울대 산학협력단의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한 산학협력문화 정착 △기술이전 및 가치평가 전문인력양성 △기술이전 시스템, 연구보상제도, 기술유통체계 등 기술확산 기반구축 △산학간 인력교류, 정보교류, 시설장비 공동사용 등 다양한 산학협력사업지원은 각 대학들의 역할 모델이 됐다.

재단 내 창업지원본부를 운용해 대학에서 개발된 기술이나 대학의 연구시설과 전문인력을 활용, 사업화하려는 대학창업기업 또는 실험실 벤처기업의 창업을 지원하기도 했다.

재단 보유 특허는 매년 20∼30%씩 늘었으며, 창업 보육에서도 서울대는 가장 많은 기업이 입주하는 등 수많은 성과를 만들어냈다.

이 같은 성공 모델을 만들어온 서울대는 오는 4월 새로운 도약을 준비 중이다.

기존 산학협력 조직을 확대 개편, 새로운 산학협력단을 출범시킬 예정이다.

새로 출범하는 조직은 △학교기업 및 창업보육센터 지원, 산학협력정책 기획 및 홍보, 기술지주회사 설립 추진 지원(운영·기획실) △연구과제 공모 및 협약, 물품 구매, 연구비 지출(연구비 관립본부) △특허기술 평가, 우수 특허 발굴, 특허 대행(지적재산관리본부) △기술지주회사 등으로 구성된다.

연구비 중앙관리 시스템이나 기존 산학협력재단(TLO)이 그 기능을 전담하게 될 지적재산관리본부는 기존 시스템을 더욱 가다듬는 개념이지만, 기술지주회사는 국내 대학 중 처음으로 도입하는 개념으로 지난해 설립을 발표 이후 이미 여러 대학에서 그 모델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그동안 대학 살림살이 대부분을 국고보조금과 학생 등록금에 의존해 왔던 현실에서 탈피, 국립대 법인화 시대를 맞아 ‘스스로 먹고살 수 있는’ 기반을 다지기 위한 프로젝트다.

산업협력단을 모회사로 오는 4월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초기 자금은 1000억∼2000억원 규모로 서울대 발전기금에서 200억원을 투자하고, 나머지는 국책은행, 연기금, 동문 주식 투자 등을 통해 유치할 계획이다.

△수익사업을 통한 서울대학교 전입금 확보 △시장을 고려한 지주회사 자회사 설립으로 산업연구 활성화 및 연구비 확보 △졸업생 및 구성원의 창업 기회 제공 △졸업생의 양질의 취업기회 제공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 사업을 시작으로 PC개발 및 제조업체, 제약사 및 약국체인, 치과 관련 벤처, 동물복제회사, 투자금융회사, 전자부품업체, 나노 및 식품 사업을 벌일 예정이다.

홍기범기자@전자신문, kb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