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록물 영구보존 `디지털史庫`시대 열렸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전자서명 장기검증관리 체계

  ‘정부기록물, 수백년이 지나도 보존, 검증된다.’

정부가 생산·보존·활용하는 전자기록물을 영구적으로 보존 검증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됐다. 정부의 주요 기록물을 디지털콘텐츠로 전환, 시대를 뛰어넘는 보존, 활용시대가 열린 것이다.

특히 전자서명 된 기록물이 진본임을 증명하고 진본기록의 관리내역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실시간 시스템은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다.

행정자치부 산하 국가기록원(원장 조윤명)은 정부가 생산·보존·활용하는 전자기록물을 수백년이 지난 뒤에도 검증할 수 있는 ‘전자기록물 전자서명 장기검증관리체계’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윤대현 국가기록원 기록관리부장은 “정부 업무 97%가 전자적으로 처리되지만 전자기록물은 쉽게 위·변조가 가능해 보존 관리에 어려움이 많았다”면서 “장기검증관리체계 구축으로 오랜 뒤에도 생산 당시의 모습 그대로 기록물을 검증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기록물관리의 획기적 전환점 마련=기록물의 장기보존시스템은 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초미의 관심사다. 전자기록물의 진본성과 무결성을 유지한 장기보존은 반드시 해결하여야 할 과제였지만 실제적인 기술구현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이다.

‘전자기록물 전자서명 장기검증시스템’은 전자기록물의 생산, 이관, 보존, 폐기 등 기록관리 전 과정을 시스템화 하면서 전자기록물에 대한 진본성과 무결성 제공을 위한 보안인증체계를 동시에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전자기록물 생성 이후 어떠한 시점에 전자서명을 검증하더라도 서명검증이 가능해야 한다.

때문에 완성된 ‘전자기록물 전자서명 장기검증시스템’은 세계 최초 시스템으로 전세계 장기검증 분야에서 선도적인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검증, 진본성, 서명 3박자 모두 맞아야= 장기검증시스템이 갖춰야 할 필수사항은 세 가지다.

첫째는 전자기록물에 대한 장기검증체계다. 전자기록물의 영구적인 보관과 보관된 전자기록물에 대한 진본성 검증을 위해 보관된 시점에 생성한 전자서명은 향후 어떠한 시점에서도 검증이 가능해야 한다. 또 전자기록물에 부여된 전자서명의 검증은 전자기록물을 검증하고자 하는 시점의 전자서명의 유효성이 아니라 전자기록물의 생성시점에 대한 검증이 필수다.

두번째는 진본확인체계다. 전자기록물의 열람을 위해 배포되는 배포본(DIP)이 보관중인 전자기록물과 동일함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진본확인체계는 공증서비스와 유사한 것으로 전자기록물의 열람시점에 국가기록원에서 보관중인 전자기록물의 원본과 배포본이 동일함을 보증하기 위해 발행된다.

세번째는 전자서명관리체계로 전자서명 생성 시 전자기록물 원본의 훼손방지와 전자서명 생성키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제공된다.

◇과제와 전망=이 시스템은 지난해까지 시험운영을 마쳤으며 각급 기관의 기록관리시스템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적용에 들어갔다.

조윤명 국가기록원 원장은 “전자기록물의 위·변조 방지를 위해 전자서명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지만 오랜 시간이 지난 후까지 전자서명의 유효성을 관리하는 것이 해결 과제였다”며 “이 같은 문제가 해결됨에 따라 향후 전자서명 장기검증관리체계 고도화를 통해 서비스 확대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부 차원에서 기록물의 장기보존체계를 마련코자 하는 외국 정부에 대한 전파에도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국가기록원은 이번에 개발 완료된 전자서명 장기검증관리체계가 행정자치부의 행정전자서명 인증관리체계(GPKI)뿐 아니라 국가 기관과의 전자거래와 관련된 민간 전자기록물도 장기검증이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윤대원기자@전자신문, yun1972@

◆국가기록물연구센터 오픈

  차세대 기록관리 분야에서 원천기술과 응용기술 연구개발(R&D)을 집중적으로 추진하는 ‘기록관리연구센터’가 개관했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지난 1일 대덕특구 내 한국통신(KT) 제2연구소에서 ‘기록관리연구센터’ 현판식을 갖고 본격적인 업무를 시작했다.

국가기록관리연구센터에서는 중요한 국가기록물과 역사적 의미가 있는 민간기록물을 장기보존하기 위한 연구와 훼손된 기록물의 복원 연구 등이 진행된다. 이를 위해 올해 R&D사업에서 10억의 연구비를 확보했고, 2012년까지 152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추가 확보했다.

이외에도 연구센터에서는 △공무수행 중 만들어진 종이 기록물 △필름과 사진과 같은 시청각기록물 △대통령이 재임기간 중 국빈들로부터 받은 행정 박물 △전자화 업무환경에서 컴퓨터로 만들어진 전자기록물의 안전한 보존과 환경 형성 등의 활동을 할 예정이다.

연구센터는 기록물 생산·보존에 필요한 재료와 장비를 표준화해 국내 기록 관련 산업을 육성에도 이바지할 전망이다.

조원명 국가기록원장은 “기록관리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연구 역량을 집중해 새로운 기록관리 기초 및 원천기술, 응용기술 들을 연구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의 기록관리를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기록원은 고도화된 기록물 관리를 위해 프랑스의 고문서복원연구센터와 필름아카이브스, 캐나다의 가티뉴센터, 미국의 국립표준국 등 각 분야별로 외국 전문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중요 국가기록물 이렇게 보존된다

  전자문서 및 온나라시스템을 통해 생산되는 중요 국가기록물은 우선 기록물 분류기존표와 기록관리기준표에 따라 등록·분류·편철된다. 등록된 모든 전자기록물은 2년 이내에 기록관으로 옮겨지며, 생산된지 9년이 지나 준 영구 이상 기록물이 되면 국가기록원의 중앙연구기록관리시스템으로 이관된다.

각 기관에서는 다양한 한글, MS워드, 엑셀 등 다양한 상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문서를 제작하는데, 이를 오랜 시간이 지나 문서를 작성한 상용SW가 사라진 후에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기보존포맷이 필요하다.

‘ISO 19005-1:PDF/A, 장기보존을 위한 전자문서 포맷’은 전자기록물 관리체계의 핵심 기술 중 하나다. 이 포맷은 원문+문서보존포맷+메타데이터+전자서명으로 구성돼 각기 다른 SW로 만들어진 전자문서의 진본성 검증과 무결성을 확인 가능하게 한다. PDF/A로 변환된 문서는 XML로 포맷화하기 때문에 몇 십년 후에도 검증과 활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장기보존포맷으로 변환·보존되는 국가 기록물은 향후 통합 검색 활용 체계를 통해 지식정보로도 쓰일 수 있다.

이수운기자@전자신문, pero@

◆기고/기록물 영구보존은 국가 디지털콘텐츠관리 척도

:이규철 충남대 컴퓨터공학과 교수(국가기록관리위원회 위원)

  아주 중요한 국가적 기밀이 적힌 일제시대의 문서가 발견됐다고 가정해보자. 관련 당사자가 모두 죽고 없기 때문에 문서의 진위 여부를 파악하는 데서부터 문제가 발생한다.

국가기록원은 조선왕조실록이 5백년 이상의 온갖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온전하게 보존되어온 전통을 계승해 우리가 직면한 해결하기 어려운 기술상의 도전 과제들을 슬기롭게 해결하면서 동시에 차세대 기록관리 분야를 선도하여야 할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다.

문서 작성 환경이 전자 환경으로 옮겨가고 있는 현실에서 국가기록원이 전자기록물의 진위를 알아낼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은 필연인 셈이다.

국가기록원의 전자서명 장기검증관리체계는 무엇보다 전자문서로 제작된 국가기록물의 검증과 재생을 세계 최초로 시스템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 전자문서 활성화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보안, 프라이버시 보호 등의 역기능을 제거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기록물 관리는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검증된 기록을 활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지식정보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 때문에 해외에서도 전자기록물의 진본성 및 무결성을 유지한 장기보존은 필수 과제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실제적인 구현에 어려움이 많아 시스템 개발 및 서비스는 전세계적으로 초미의 관심사였다.

전자기록물 전자서명 장기시스템을 우리가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는 사실은 기록관리 분야를 선도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전자기록물의 영구보존은 문서보안, 검증, 변환, 인증 기술을 모두 동원해야 하기 때문에 국가차원에서 디지털 콘텐츠 관리가 얼마나 잘되는가를 알 수 있는 척도이다. 때문에 현재 개발된 시스템에 만족하지 말고, 지속적으로 전자기록물과 이들 기록물을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한 환경을 연구해 선도국가의 위치를 유지해야 한다.

오늘 개소하는 기록관리연구센터에 거는 기대가 큰 것도 연구센터가 기록물 관리 연구의 중추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국가기록원은 연구센터를 통해 전자기록물 보존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업계와 협력해 세계 최초로 구축된 이 시스템을 해외로 알리는 데도 앞장서야 할 것이다. kclee@cnu.ac.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