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18일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강원도 영월 화력발전소가 ‘구조물 해체공법’으로 완전 해체됐다. 폭파팀은 화력발전소 1·2호기와 60m의 굴뚝에 총 900개의 구멍을 뚫어 1090개의 다이너마이트(200㎏ 분량)를 장착했고, 건물은 수초 만에 먼지만 남긴 채 사라졌다.
어떻게 거대한 건물을 순식간에 무너뜨릴 수 있는 것일까? 구조물 해체공법은 그 자리에 폭삭 주저앉히는 ‘단층 붕괴공법’과 일정한 방향으로 구조물 전체를 한꺼번에 쓰러뜨리는 ‘전도공법’, 원형 경기장처럼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붕괴시키는 ‘내파공법’ 등 4∼5가지 종류가 있다.
건물의 특성에 따라 이 가운데 한가지 공법이 결정되면 주변 시설물이 폭파 때 생기는 땅의 진동과 소음·분진 등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발파공법, 폭약 위치 선택 등을 모두 고려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한다. 이때 아무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배관재·창호재 등 아파트 내장재를 모두 제거하고 폭탄을 설치한 다음 폭파되는 순간 발생하는 폭풍압이나 날아가는 돌을 차단하기 위해 방호벽까지 설치한다. 그리고 버튼을 누르면 건물은 순식간에 파괴된다. 준비는 오래지만 부서지는 것은 순식간이다.
그러나 폭약을 사용한다고 해서 전적으로 폭약의 힘에 의해 건물이 무너지는 것은 아니다. 폭약은 기둥·보·벽 같은 지지물들을 없앰으로써 건물을 불균형 상태로 만들고 건물 스스로 자체 중력에 의해 넘어지면서 붕괴하도록 유도하는 역할만 한다. 다시 말해서 구조물 해체공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폭약’보다는 ‘중력’인 셈이다.
<제공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경제 많이 본 뉴스
-
1
법인 가상자산 투자 풀린다…비영리법인부터 단계적 허용
-
2
토스, 커머스 인재 대거 흡수…쇼핑·페이 확장
-
3
영풍, 지난해 '역대 최악 실적'…순손실 2633억
-
4
[데스크라인]법인 가상자산 투자, 혁신 기회가 되려면
-
5
골드바 품귀현상까지 부른 금값 상승, 金 ETF·실버바 강세로 번졌다
-
6
보조배터리·전자담배 기내 선반 보관 금지…초과 반입시 별도 승인 거쳐야
-
7
충남연구원, 2025년도 정책연구 본격 추진…전략과제 35건 최종 선정
-
8
한화손보, 글로벌 부품·반도체사와 연이어 사이버보험 '단독계약' 돌풍
-
9
유니온커뮤니티 日 NEC에 ODM 공급… 일본 수출 핵심 채널 확보
-
10
[ET라씨로] 코리아써키트, 영업익 흑자전환 기대감에 주가 22%↑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