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 도입법안의 주도권이 국회 방송통신특별위원회로 넘어가면서 방송계와 통신업계 간 공방전이 점입가경이다. 여기다 포털사업자·지역민방·홈네트워크사업자 등까지 가세하면서 IPTV 논쟁은 백화제방시대를 맞고 있다. 일각에서는 IPTV 논쟁이 자칫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 방송통신특별위원회 주최로 열린 IPTV 법률안 공청회에서는 IPTV의 성격, IPTV 사업자의 권역제한, 지배적 사업자인 KT의 자회사 분리방안, 망 개방 문제 등 쟁점에에서 사업자 간에 현격한 견해차를 보였다. IPTV 근거법을 놓고도 특별법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부터 굳이 왜 특별법이 필요하냐는 의견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 법제화가 여전히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위원회가 솔로몬의 비책을 내놓지 않는 한 사업자를 모두 만족시키는 ‘높은 수준’의 합의안을 끌어낸다는 것은 애당초 불가능해 보인다. 게다가 선거국면과도 맞물려 있어 가뜩이나 찜찜하다.
IPTV 논쟁이 정점으로 치닫고 있지만 더욱 원초적인 문제제기를 하고 싶다. 한 걸음 물러나서 보면 IPTV라는 미디어 플랫폼이 수용자 측면에서는 대수롭지 않은 문제일 수도 있다. 그렇다고 IPTV의 법제화가 시급하지 않다는 얘기는 아니다. 오해 없기를 바란다.
우리는 이미 각종 미디어와 통·방융합서비스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지상파 방송·위성방송·케이블TV·지상파DMB·위성DMB·지역민방·TV포털·웹TV 등등 대충 들어본 것만 열거해도 이 정도다. 향후 등장할 지상파 방송사업자의 MMS서비스와 IPTV, 디지털 라디오 등까지 셈하면 우리나라는 가히 융합서비스의 천국이자 테스트베드라고 할 만하다. IT강국의 명성에 손색이 없다.
문제는 콘텐츠다. 프로그램의 질적인 측면에서 보면 과거 중계유선방송(RO) 전성시대와 지금이 크게 달라진 게 없는 것 같다. 다양한 융합 플랫폼이 시청자의 눈과 귀를 유혹하는 마당에 이미 한물간 중계유선방송을 거론한다는 게 시대착오적일지 모른다. 하지만 지금 케이블·위성·DMB 등으로 송출되는 콘텐츠의 품질을 고려하면 얼토당토않은 얘기는 아니다.
과거 중계유선방송이 얼마나 많은 채널을 시청자에게 송출했는지를 상기하면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물론 불법 서비스고 지상파 방송의 녹화 재전송이라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기는 했지만 중계유선방송도 드라마·오락·스포츠·영화 등 장르별로 편성해 시청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의 전문 장르에 대한 갈증을 풀어줬다. 시대를 앞선 중계유선방송은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까지 내놓고 케이블SO나 통신사업자들과 경쟁을 펼치기도 했다.
반면에 지금 케이블·위성·DMB 등에서 방송되는 PP 프로그램의 소비자 만족도가 과연 얼마나 높을까. 자체 제작한 양질의 프로그램은 매우 드물고 그나마 호응도가 높은 프로그램은 지상파 방송의 재탕이거나 외국 콘텐츠다. 게다가 ‘원 소스 멀티 유스’라는 미명하에 똑같은 PP 프로그램들이 여러 플랫폼에 송출되고 있다. 지상파 방송 계열 PP의 영향력은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데 비해 전문 PP의 설 자리는 점점 좁아지는 게 우리 콘텐츠업계 현주소다. 이런 상황에서 IPTV라는 플랫폼이 하나 더 추가된다고 한다. 보지 않아도 뻔하다. 우리는 지상파·위성·케이블·DMB의 콘텐츠를 IPTV라는 또 다른 매체를 통해 볼 가능성이 높다. 새로운 플랫폼이나 네트워크가 추가되기보다 시청자는 차별화된 고품질의 콘텐츠를 더 원한다.
상황이 이쯤 되면 시청자가 하고 싶은 말은 하나로 귀결된다. ‘중요한 건 콘텐츠야, 이 바보야!’
◆장길수 논설위원 ksjang@etnews.co.kr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2
[ET시론]K콘텐츠 성장과 저작권 존중
-
3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
4
[ET시선] 국회, 전기본 발목잡기 사라져야
-
5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6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3〉미래를 설계하다:신기술 전망과 혁신을 통한 전략 (상)
-
7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8
[IT's 헬스]“중장년 10명 중 9명 OTT 시청”…드라마 정주행 시 조심해야 할 '이 질환'은?
-
9
[GEF 스타트업 이야기] 〈57〉더 나쁜 사람 찾기, 손가락질하기 바쁜 세상
-
10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21〉트렌드 반영한 3C관점 디지털 소통효과 측정해야 낭비 제거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