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0706/070627105719_739688571_b.jpg)
국내 취업 시장이 좀처럼 침체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자 구직자들의 해외 취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 온라인 리크루팅업체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올 2월 졸업한 남녀 구직자 1127명을 대상으로 ‘해외 취업 선호도’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80.7%(909명)의 응답자가 ‘기회만 닿으면 해외로 취업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특히 이들 중 16.8%(909명중 153명)의 구직자는 실제 해외 취업을 준비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외 취업에 대한 선호도는 여성 구직자들이 83.8%로 남성 구직자 79.1%에 비해 4.7%P 높았으며, 2.3년제 대졸 구직자들(66.2%)에 비해 4년제 대졸 구직자들(84.4%)의 해외 취업 선호도가 18.2%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학과 별로는 어문/인문계열 전공자들의 해외 취업 선호도가 84.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상경/경상계열 82.5% △사회/과학계열 80.5% △예체능계열 78.1% △이공학계열 75.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해외 취업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해외에서 전문 기술 및 업무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란 응답이 38.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해외 취업 경력을 통해 몸값을 올리기 위해 25.1% △국내에서는 더 이상 취업 전망이 없기 때문 16.1% △복지 및 근무 환경이 우수해서 14.2% △국내보다 높은 연봉 수준 2.2% 등으로 조사됐다.
해외 취업을 원하는 국가로는 남성 구직자들의 경우는 미국이 49.4%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유럽 14.8% △호주 11.7% △일본 7.8% △캐나다 7.6% △중국 2.4% △동남아시아 1.2% △중동 1.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여성 구직자의 경우는 미국(34.7%) 다음으로 유럽(26.9%)·일본(16.6%)에 대한 취업 선호도가 남성 구직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이 외에 △캐나다 6.9% △호주 3.8% △동남아시아 3.1%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해외 취업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으로는 △영어 등 외국어 공부를 꼽은 응답자가 79.4%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이 외에 △전문분야 경력 11.9% △국제 자격증 취득 2.8% △해외기업 정보 수집 2.2% △외국 학위 2.1% 등의 순으로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