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휴대폰 기기 이동제` 추진한다

Photo Image
일본 정부가 오는 10월 번호이동제 새행 1년을 맞아 휴대폰 기기 이동제 도입을 추진한다. 사진은 NTT도코모의 3G 서비스 포마 단말기.<도쿄(일본)=AFP연합뉴스>

 일본이 정부 차원에서 ‘휴대폰 기기 이동제’를 추진한다고 파이낼셜타임스(FT)가 26일 보도했다.

 일본 총무성 산하 모바일산업 연구위원회의 사이토 타다오 위원장은 “우리의 제1 목표는 ‘기기 이동제’의 관철”이라며 “이는 일본 휴대폰 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소비자 선택권 강화를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기기 이동제란 휴대폰 사용자가 번호 이동 등을 통해 자신의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를 변경해도, 원래 쓰던 휴대폰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일본을 비롯해 한국 등 대다수 국가들은 기기별로 주파수대가 다르다는 기술적 이유 등으로 이통 서비스 사업자를 변경하면 쓰던 기기도 바꿔야한다.

 기기 변경때 이통사의 보조금 혜택을 받는다 해도 폐휴대폰 발생에 따른 환경 문제와 새 휴대폰의 조작법을 익히는데 불필요한 수고가 동반되는 등의 폐해가 있다는 게 위원회의 지적이다.

 최근 연구회가 내놓은 관련 보고서 초안에 따르면 기기 이동제를 당장 도입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나, 준비 과정을 거치면 2∼3년내 시행은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기 이동제가 도입되면 소비자에게 공정하지 못했던 일본 이동통신 시장에 혁신적인 변화가 예상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하지만 이같은 통신 개혁에 회의적인 시각도 만만찮다. 이누이 마키오 UBS 통신 담당 애널리스트는 “위원회는 소비자들이 진정 원하는 것이 뭔지 모르는 것 같다”며 “결국 새 휴대폰 개발에 들어가는 비용이 소비자에게 더 많이 전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누이 애널리스트는 또 “여전히 서비스 독점권을 갖고 있는 각 이통사들은 기술적 이유를 들어 기기 이동제는 멋없고 투박한 ‘하이브리드폰’에만 적용 가능하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결국 기기 이동제를 선택한 고객은 세련된 최신 휴대폰은 쓸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하이브리드폰은 각 이통사의 다양한 서비스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넉넉한 시스템 용량이 필요하다. 범용 사용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 크기 또한 지금보다 커져 심미적 디자인은 기대하기 힘들다. 특히 가격도 일반 제품보다 비싸 결국 소비자들은 기기 이동제가 시행되도 일반 휴대폰을 선택할 수 밖에 없게 될 것이라는 게 이누이 애널리스트의 주장이다.

 한편 위원회는 오는 10월 번호 이동제 실시 1년에 맞춰 곧바로 기기 이동제를 이슈화시킨다는 전략이다.

 류경동기자@전자신문, ninan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