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지역에선 기관장 구인난

 최근 전주시는 전주정보영상진흥원의 후임 원장을 두 차례 공모했으나 끝내 선임하지 못했다. 1·2차에 지원한 총 16명의 후보 중 6명을 면접을 했지만 적임자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로 인해 전북지역 정보기술(IT)·문화기술(CT)산업 육성을 총괄하는 전주진흥원의 원장 공백은 지난 1월부터 4개월 이상 이어지고 있다.

 전주진흥원장 선임의 진통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04년 전임 원장 공모 때는 세 차례 공모 끝에 6개월여 만에 어렵사리 기관장을 구할 수 있었다. 시는 지난날의 쓰라린 경험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이번 1차 공모결과 마땅한 후보가 없자 헤드헌팅업체에까지 의뢰해 2차로 후보물색에 나섰다. 국내 대기업과 다국적 IT기업의 중역들이 대거 추천됐지만 심사위원들의 기준을 충족시킨 후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시가 잠정적으로 정해 놓은 원장자격이 너무 까다로운 게 아니냐고 지적한다. IT뿐만 아니라 CT산업에 대한 풍부한 식견을 동시에 갖추고 있으면서 중앙과 지역을 아우를 수 있는 인물을 찾기가 쉽겠느냐며 시의 ‘눈높이’조절을 주문한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역 IT·CT산업을 균형있게 육성하고 중앙정부와도 통할 수 있는 지역출신을 찾는 게 이렇게 힘들 줄 몰랐다”면서 “마지막에는 지역을 고려하지 않아도 적임자가 없더라”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유야 어찌됐든, 지역 IT업계에서의 인물난은 비단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진흥원 외에 테크노파크·전략산업기획단 등 지역 IT 기관에서도 마땅한 CEO 후보를 찾지 못해 애태우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지역 IT·CT기관장의 공백사태가 장기화되면 가장 큰 피해는 관련 기업에 돌아간다. 입주기업의 고민을 해결해주고 기업성장에 필요한 조언을 해주는 것이 기관장의 첫 번째 임무기 때문이다.

 안일한 방법으로 차기 기관장을 찾으려 해서는 곤란하다. 지금부터라도 지역 IT·CT산업 육성에 필요하고 적합한 인력 풀을 만들어 관리하는 등 적극적인 태도로 전환해야 한다.

 이번 전주진흥원장의 선임에서 나타난 인물난을 교훈 삼아 다른 지자체들도 ‘지역 IT·CT산업도 인사가 만사’라는 진리를 깨우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전주=김한식기자@전자신문, hski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