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tvN 해프닝

 지난 2일 ‘드디어’ 중단됐던 오락채널 tvN의 위성방송 송출이 4일 밤 12시를 기해 재개됐다.

 ‘드디어’라는 표현을 쓴 것은 방송 송출 중단을 둘러싼 공방이 그만큼 오래 지속됐기 때문이다. tvN을 운영하는 CJ미디어가 케이블TV 올인 전략을 본격 추진하면서 지난해 11월쯤 이 문제가 처음 불거진 이후 최근 한달 동안은 몇 번이나 “방송을 끊겠다”와 “연기하겠다”를 반복했다.

 어쨌든 지난 2일 전체회의에서 조정안을 내기로 했던 방송위원회가 조정안 제시를 연기하자 CJ미디어는 tvN의 위성 송출을 중단했다. 수신료 수입이 미미한 현실에서 1400만 시청가구를 기반으로 케이블의 광고 시장에 주력한다는 계획의 일환이다.

 그러다 여론의 압박이 계속되자 tvN은 “방송위원회와의 의견교환을 통해 4일 밤12시부터 tvN 송출을 재개키로 했다. tvN은 방송위 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이 이른 시일 내에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최종 결정이 날 때까지 한시적으로 tvN 송출 재개를 결정했다”라며 송출을 재개했다.

 CJ미디어는 이번 일련의 과정에서 끊임없이 말을 뒤집으며 오락가락하는 행보를 보여왔다. 8일 방송위원회의 조정안 여부에 따라 다시 송출이 중단될 수도 있다. 노이즈 마케팅을 한다는 의심이 들 정도다. 그 과정에서 논란은 계속 커져 방송 프로그램의 공정 공급, 신규 미디어에 프로그램을 의무적으로 공급하는 ‘프로그램접근규칙’(PAR:Program Access Rule) 등으로 논란이 확대됐다.

 논란의 처음으로 돌아가 보면 결국 문제는 콘텐츠에 대한 수신료가 턱없이 적은 유료 방송 시장의 현실 때문에 광고 시장에 올인할 수밖에 없는 시장 구조에 있다. 이를 돌파하기 위해 채널 사업자는 무리한 행동을 선택했고 상대편은 공영방송도 아니고, 한국 대표가 출전하는 올림픽 경기를 중계하는 것도 아닌 tvN에 대해 PAR 문제까지 거론하고 있다.

 볼 만한 콘텐츠를 만들고 이에 대해 적정하게 보상한다는 원칙이 확립되지 않은 국내 유료 방송 시장에서 기업들의 원칙 없는 행태가 이어지고 있다. 방송계에 중심을 잡아줄 이는 누구인가? 방송위의 8일 전체회의에서 나오는 최종 분쟁조정안에 기대를 걸어 본다.

한세희기자@전자신문, hahn@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