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기업 인도로 오세요"

인텔 등에 융자·세금감면 파격 혜택 제시

Photo Image
글로벌 PC업체 델은 인도 남부 스리페룸부두르 경제특구에 3000만달러를 투자해 PC제조공장을 짓고 있다. 지난해 3월 마이클 델 회장과 델 인도법인의 로미 말호트라 본부장이 인도 투자 확대 방침을 발표한 후 악수를 나누고 있다.

 ‘인텔, 인도로 다시 오라.’

 인도가 규제 간소화와 인센티브 제공을 골자로 한 새로운 IT산업 외자 유치 정책을 발표하고 글로벌 기업들에게 적극적인 애정공세를 펼치고 있다. 특히 인텔 등 몇몇 반도체 업체를 중점 공략해 인도에 생산공장을 짓는 문제를 놓고 협상을 재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는 지난해 10억달러 규모의 인텔 반도체 공장 유치를 추진하다가 막판에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한 베트남에 빼앗긴 쓰라린 경험을 한 바 있다.

 EE타임스에 따르면 인도의 다야니디 마란 정보통신부 장관은 해외 기업이 생산시설 건립 제안서를 제출하면 이를 평가하고 유치 여부를 결정하기까지의 모든 절차를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승인위원회를 발족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승인위원회는 진출업체가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고 있는 지와 보유 기술의 종류 등을 중점 평가해 유치 여부를 정부에 최종 건의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는 인도가 최근 제정한 반도체산업 활성화 정책에 따른 것. 반도체산업 활성화 정책은 인도에 생산공장을 짓는 반도체 및 전자제품 제조 업체에게 10년 간 투자금액의 최대 20%를 무이자로 융자해 주고 세금을 감면하는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담고 있다. 단 기업의 투자 규모가 반도체 업체의 경우 5억5000만달러, 디스플레이나 스토리지 제조업체는 2억2500달러가 넘어야 한다.

 마란 장관은 “새 정책이 공표된 이후 3개의 반도체 업체가 각각 30억달러 규모의 공장을 건립키로 결정했으며 향후 3년 간 50억달러의 외자가 유입될 전망”이라며 “인도에 공장을 짓는 전자제품 제조업체 중 선착순 10곳에 세금 면제와 인센티브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인도는 최근 몇년 간 ‘글로벌 생산기지’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중국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사활을 건 경쟁을 펼쳐왔으며 델·노키아 등의 생산공장을 유치했다.

조윤아기자@전자신문, forange@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