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동향]정규직 취업에 평균 10.7개월 소요

 지난해 취업에 성공한 4년제 대졸 취업자들이 정규직으로 일할 수 있는 첫 직장을 구하기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10.7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리크루팅 업체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지난 지난달 21일부터 3월 6일까지 지난 해 일자리를 구하는 데 성공한 4년제 대졸 취업자 10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취업준비 현황’조사 결과에서 드러났다.

 이번 조사결과 지난해 취업에 성공한 4년제 대학졸업자들이 정규직 일자리를 갖기까지 구직활동을 한 기간은 평균 10.7개월인 것으로 집계됐으며, 취업자 10명 중 1명은 정규직 일자리를 얻기까지 2년이 넘게 걸린 것으로 조사됐다.

 구직 기간별로는 10∼15개월 미만이 37.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개월 미만(18.5%), 3∼6개월 미만(14.8%), 6∼10개월 미만(9.8%), 25개월 이상(9.2%), 15∼20개월 미만(6.9%) 등의 순이었다.

 또 이들을 대상으로 첫 직장에 입사한 경로를 조사한 결과, ‘공개채용을 통해서’가 34.6%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기업의 수시채용 채널을 통해 입사(28.9%) △친인척 또는 지인의 소개로 입사(22.0%) △헤드헌터를 통해 입사(4.8%) △기업의 특별채용을 통해 입사(3.9%) 등의 순이다.

 특히 취업 성공자 5명 중 1명은 친인척이나 지인의 소개 등으로 일자리를 구한 것으로 나타나, ‘인맥’이 취업성공에 중요한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첫 직장을 잡는 데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 1순위로 ‘성공적으로 면접에 임했기 때문(22.3%)을 꼽았다. 뒤 이어 △직무 관련 아르바이트나 인턴 경험(20.1%) △눈높이를 낮췄기 때문(13.8%) △취업에 유리한 전공 덕분(11.7%) △호감가는 외모 덕분에(10.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김화수 잡코리아 사장은 “구직자들이 취업시기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지원하는 회사가 좋은지 나쁜지만 신경 쓸 것이 아니라 과연 자신은 기업의 시각에서 얼마나 매력적인 인재인가를 생각하면서 스스를 객관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사장은 “특히 구직기간이 길어질수록 취업준비생들은 냉소주의와 패배주의에 빠질 수 있는데 이를 경계해야 한다”며“자신을 빛나게 하는 것은 자신감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