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유치 공무원이 경제학 박사 학위취득

 투자유치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이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박사논문을 발표해 화제다.

 주인공은 전북도청 투자유치과에 전문위원으로 근무하는 김석진씨. 김씨는 외국인 직접 투자유치를 위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외국인 직접 투자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요인을 분석한 논문으로 지난 22일 전북대 졸업식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가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간 전국 142개 외국투자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투자 주요동기로는 한국 내 판매(48%)가 가장 높았으며 아시아의 생산거점 확보(26%)가 뒤를 따랐다. 또 투자지역 결정을 위한 필요한 정보는 자체 조사(44%)를 통해 가장 많이 얻었으며, 이어 기존 외국기업(13%), 국내합작회사(13%), 외국인투자지원센터(13%), 지방정부(7%)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애로사항으로는 근로자의 임금상승(23%)과 노동시장 유연성 부족(17%), 물류비 과다(15%), 우수인력확보 어려움(13%)을 꼽았으며 지자체의 지원정책 중 가장 도움이 되는 시책으로 공장부지 무상 및 저가제공(32%)에 이어 조세감면정책(26%), 현금지원(19%), 행정서비스(8%) 등이다.

 이에 대해 김씨는 “이번 조사를 통해 외국인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투자환경이 골고루 발달돼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외국인 투자유치 업무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주=김한식기자@전자신문, hski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