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모바일특구,지역 성장 동력돼야

 모바일 특구가 처음부터 수도권을 위한 사업이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대구·경북이 허탈감에 빠졌다.

 휴대폰 생산기지가 있는 구미지역을 중심으로 모바일 특구 유치를 위해 협력중인 지역 관계자들은 모바일 특구 가이드라인 발표를 코앞에 둔 시점에서 정보통신부 행보가 다분히 수도권 내정설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정통부는 최근 톱다운 방식으로 모바일 특구 지역을 복수로 지정한 뒤 특구 입지와 지자체의 의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특구 지역을 확정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통부가 다양한 채널을 통해 각 지방의 모바일 관련 인프라를 보고받고 있는 이유도 결국 입지를 수도권으로 결정한 뒤 탈락한 지방의 반발에 대응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얼마 전 모바일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된 모바일 특구 수요조사 결과도 수도권 입지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렇게 돌아가자 대구·경북지역은 모바일 특구가 제2정부통합전산센터(광주 유치)처럼 다른 지역으로 가서는 안 된다며 다각도로 노력하고는 있지만 정황이 불리하고 기세도 한풀 꺾여 있는 느낌이다.

 그러나 대구·경북으로서는 더 물러날 곳이 없다. 디스플레이산업은 지난번 수도권 공장이전 완화 조치로 구미를 떠났고, 남아 있는 휴대폰산업도 이번에 모바일 특구로 지정되지 못하면 장기적으로는 구미를 떠날 것이 분명하다.

 그래도 이 지역에는 아직 삼성전자와 노키아TMC의 휴대폰 공장이 있고 1500여개에 달하는 모바일 관련 기업이 있다. 이들 지역 모바일 기업은 단말기 및 솔루션, 콘텐츠 등을 테스트하기 위해 한 해 1200여명의 직원이 연 평균 두 달 동안 해외출장을 다녀온다. 한 해 동안 출장에 드는 비용이 전체 매출의 20% 이상에 달한다.

 이 기업들이 모바일 특구에 바라는 점은 배보다 배꼽이 큰 출장비를 줄이고 가까이에서 편하게 자신들이 개발한 제품을 테스트해 보고 싶은 것이다. 모바일 특구도 결국 이런 중소기업을 위한 사업이 아닌가.

 모바일 특구가 수도권 과밀화를 부추기고 그나마 한 개 남아 있는 지방의 먹거리를 빼앗는 사업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

대구=경제과학부·정재훈기자@전자신문, jhoon@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