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전화서비스 영업정지 휴대폰에 직격탄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이동통신3사 3분기 실적 추정치

100일간의 이동전화사업자 영업정지로 사업자들은 수익이 크게 향상됐지만 휴대폰업계는 판매량 격감과 바닥을 헤매는 수익으로 울상을 지었다. 불법 보조금 지급 등으로 이동전화서비스업체에 내려진 영업정지 조치가 휴대폰업계에 직격탄을 날린 셈이다.

 업계에서는 “이동전화서비스업체에 내린 영업정지 조치가 엉뚱하게 휴대폰업체에 피해를 줬다”며 “이동전화서비스업체 규제 방법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동전화서비스업체, 안 쓴 만큼 벌었다=이동전화서비스 3사는 3분기에 말 그대로 안 쓴 만큼 벌었다. 매출은 SK텔레콤을 제외하곤 감소해 정체였지만 순이익은 절감한 마케팅 비용만큼 늘어났다. SK텔레콤의 마케팅 비용은 2분기 5750억원에서 3분기 4300억원으로 1450억원 줄었지만 순이익은 3000억원에서 4850억원으로 1800억원 늘어났다. KTF 역시 마케팅 비용 감액 700억원과 비슷한 규모로 순이익이 750억원 늘어났다. LG텔레콤 역시 마케팅 비용 600억원 감액으로 615억원 가량의 수익성 개선효과를 봤다.

 가입자 증가추세는 급격히 꺾였다. 일방향(SK텔레콤→KTF, LG텔레콤) 번호이동을 시행한 상반기에 KTF와 LG텔레콤은 각각 150만명, 86만명의 순증 가입자를 확보했지만 3분기 가입자가 각각 32만4900명 감소, 9만4500명 증가에 그쳤다. SK텔레콤도 상반기 28만명의 가입자를 불렸으나 3분기 3만7000명에 그쳤다. 올해 남은 동안에 상반기와 같은 전면적인 가입자 확보경쟁은 어려울 것이라는 게 시장의 관측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아무리 단기적인 수익성 개선효과를 얻어도 성장성을 잃는 것은 큰 타격”이라며 “클린마케팅을 계속 유지하면서 가입자당 매출을 올리는 신규서비스 경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휴대폰업계 울상=지난 8월 국내 휴대폰 시장은 올 들어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업체별로 차이는 있지만 115만∼119만대 수준. 상반기 내내 130만대를 상회했던 휴대폰 시장이 지난 6월 이동전화서비스업체의 영업 정지가 시작되면서 120만대 수준으로 떨어졌다. 7월 약간 시장이 회복되는 듯했지만 이동전화사업자의 재고 물량이 시장에 풀리면서 8월 휴대폰업체의 공급 규모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특히 수익이 크게 떨어졌다. 업계 관계자들은 “국내 휴대폰 상위 3개사(삼성전자·LG전자·팬택&큐리텔) 중 영업정지 기간에 수익은커녕 일부 업체는 적자를 냈다”며 “4분기에도 상황은 크게 호전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동전화사업자의 자회사나 중견업체들까지 시장 경쟁에 가세해 이익률은 더욱 떨어졌다.

 이 같은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일부 이동전화사업자가 휴대폰업체에 휴대폰 판매 장려 보조금을 요구하고 있다. 일각에선 전체 매출의 10∼20%밖에 안되는 내수 시장에 투입하는 비용을 줄이고, 해외 시장에 주력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올 정도다.

 ◇규제방식 재검토해야=휴대폰업계는 이동전화사업자에 내린 영업정지 조치가 휴대폰업체에 악영향을 미치자 분통을 터뜨렸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동전화사업자가 과징금을 부과받았지만 수익개선으로 만회했다”면서 “하지만 휴대폰업체는 시장 축소에 따른 손해를 그대로 떠안았다”고 말했다.

 불법을 저지른 이동전화사업자를 규제하되, 휴대폰업체나 부품업체에는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휴대폰업계 관계자들은 “불법 보조금으로 사업자를 규제할 때마다 왜 휴대폰업체가 큰 피해를 봐야 하는가”라면서 “규제도 중요하지만 시장 왜곡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김익종·김용석기자@전자신문, ijkim·yski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