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과학기술 정보 허브 작업 착수

 우리나라가 과학기술정보 분야에서 동북아시아의 축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기초작업이 내달 착수된다.

 과학기술부는 5일 국내 과학기술 분야 정보가 미국에 편중돼 있다는 판단에 따라 우리나라가 중추적인 입장에서 중국 및 일본과 이 분야의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STI(Science&Technology Information)-포트’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과기부는 이를 위해 이달 중 STI-포트 구축을 위한 연구사업자를 선정해 내달부터 오는 10월 30일까지 3000만원을 투입해 연구조사작업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연구분야는 △STI-포트를 위한 기본전략 및 계획 수립 △중국 및 일본의 과학기술 분야 정보 현황 파악 △관련국 전문가 포럼 구성 △단계별 요소기술 개발과제 설정 등이다.

 과기부는 STI-포트를 통해 국제적으로 과학기술정보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고, 국내 과학기술 연구자에게 최적의 정보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TI-포트는 특정장소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사이버상으로 3국이 과학기술정보를 공유·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과기부 관계자는 “중국이 과학기술 분야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을 이루고 있다”면서 “중국 과학원 문헌정보센터와 우선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한 뒤 일본으로 확대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중국 과학원 문헌정보센터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광범위한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교류하고 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