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IT산업 `아시아 1위` 초읽기

 중국의 기술 산업에 주목하라.

 비즈니스위크는 24일 ‘2002년 아시아 기술산업 8대 뉴스’에 중국 반도체산업의 급성장 등 중국 관련뉴스를 4건이나 올려 놓고 중국이 아시아 기술산업의 태풍의 눈으로 등장했다고 전했다.

 이 잡지는 중국 기술산업의 약진이 다국적 기업들의 적극적인 대중국 투자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이번에 선정된 8대 뉴스는 △ 중국 반도체산업의 급성장 △ 인도 통신산업의 급팽창 △삼성전자 독주 △대만 PC메이커 사업다각화 △중국 인터넷 포털기업 부활 △중국 휴대폰 메이커 부상 △세계 기술기업들의 대중국 투자붐 △싱가포르 반도체업체 부진 등이다.

 비즈니스위크는 중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발전을 보인 분야로 반도체산업을 꼽고 올해 중국 반도체산업이 한국·일본 등 아시아지역의 강국을 위협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전문가들은 중국이 조만간 대만을 제치고 세계 D램 생산의 거점으로 급부상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중국 휴대폰 업체들의 도약도 주목했다. 몇년 전까지 모토로라·노키아 등이 독점하던 중국 휴대폰 시장은 TCL, 이스트콤, 버드 등의 중국내 업체들이 급격히 시장을 탈환하기 시작하면서 시장 점유율이 30%대까지 올라가 있다.

 넷이즈·시나닷컴 등 중국 인터넷 포털 업체들의 기사회생도 이슈로 꼽혔다. 대표적인 중국의 인터넷 포털로 지난해 미국 나스닥에서 상장폐지의 위기로까지 몰렸던 넷이즈는 올해 주가가 10배 이상 폭등했다.

 삼성전자는 전세계 반도체업체들이 대부분 극심한 부진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도 반도체 분야에서만 20억달러에 육박하는 순익을 내 8대 뉴스에 이름을 올렸다. 비즈니스위크는 마이크론의 하이닉스 인수 무산에 따라 삼성전자의 독주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인도는 대대적인 통신기업들의 민영화를 통해 성장기반을 마련한 점을 인정했다. 현재 인도의 무선전화 시장은 1000만명의 가입자 수를 확보하고 있으며 매년 80%씩의 증가세를 보여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비즈니스위크는 이밖에 컴팔전자 등 대만 PC업체들의 사업다각화, 싱가포르의 반도체 메이커 차터드 반도체의 부진 지속 등도 주목할만한 뉴스로 꼽았다.

 <황도연기자 dyhwa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