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데이터방송 지원을

◆원충연 디티브이인터랙티브 사장 won@dtvinteractive.co.kr

디지털방송은 우리나라의 차세대 수출전략형 IT산업으로 설정돼 있다. 그러나 흔히 디지털방송의 꽃이라고 표현되는 양방향 데이터방송 산업은 열악하기 그지없는 형편이다.

 우리나라는 2∼3년 전부터 디지털 데이터방송 기술개발에 많은 투자를 진행해왔다. 손에 꼽을 정도지만 디지털 데이터방송 관련 솔루션 개발기술을 가지고 있는 회사도 있고 디지털 데이터방송의 핵심기술인 셋톱박스용 미들웨어를 개발했거나 개발중인 업체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디지털 데이터방송 솔루션업체들의 경우 데이터방송 서비스가 계속 연기되면서 상당한 자금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세계시장을 장악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 상용화할 수 있는 제품을 출시하는 고지를 눈앞에 두고도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데이터방송 콘텐츠 제작업체들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다. 월드컵을 전후한 데이터방송 서비스 개시를 염두에 뒀던 콘텐츠 제작업체들이 서비스 개시 일정의 지연으로 데이터방송 사업을 포기하거나 자금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현재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데이터방송 서비스 시장이 열리더라도 디지털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과 콘텐츠 업체는 국내에 거의 남아있지 않게 될 것이다. 결국 오픈 스탠더드를 채택해 국내 디지털 데이터방송 산업을 부흥시키려 했던 정부의 취지는 아무런 의의를 가질 수 없게 된다.

 디지털 데이터방송을 차세대 수출전략형 IT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정부의 신념이 확고하다면 지금이라도 데이터방송 솔루션 및 콘텐츠제작 업체들에 대한 입체적이고 전략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우선 데이터방송 미들웨어 및 솔루션 개발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현재 데이터방송업계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DVB-MHP나 오픈케이블 기반의 OCAP 등 세계표준을 완벽하게 지원할 수 있는 방송 솔루션과 장비가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또는 연기가 필연적인 계획들만 양산될 뿐이다.

 업체들이 정부의 강력한 드라이브 때문에 움직임을 보이기는 했지만 실질적인 진행이 이뤄지지 못하는 이유도 바로 솔루션의 부재에서 기인한다. 양방향TV서비스와 콘텐츠에 대한 장밋빛 청사진도 결국 그것을 만들어낼 수 있는 솔루션 개발능력이 없다면 결국은 해외기술 종속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정부는 데이터방송 미들웨어와 및 솔루션 개발 벤처를 활성화시켜 해외기술 종속을 막고, 서비스 및 콘텐츠 사업자들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둘째, 데이터방송 산업에 더 많은 업체들을 참여시키기 위해 저가의 콘텐츠 저작도구, SDK(Software Development Kit) 테스트베드 시스템 등의 보급이 필요하다. 데이터방송 콘텐츠 사업자의 경우 거의 회사 자본금과 맞먹는 규모의 개발환경 및 테스트베드 구축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실제 데이터방송과는 크게 동떨어진 환경에서 콘텐츠 및 기술을 개발을 하고 있다. 데이터방송 업계의 활성화와 후발업체들의 진입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보다 저렴한 SDK, 저작도구, 테스트베드 시스템이 보급돼야 하며 이러한 초기 개발환경 구축에 필요한 지원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데이터방송 업계의 해외진출에 대한 적극적 지원도 요구된다. 현재 데이터방송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는 한국 업체들은 기술력 및 제품에 대해 해외업체들의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으면서도 자금·영업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세계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도 엄청난 성장 가능성을 가진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지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 현재 상황인 것이다.

 데이터방송 솔루션 분야에서 세계시장을 석권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가진 업체들에 대한 입체적이고 전략적인 지원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t커머스 등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디지털 데이터방송의 달콤한 열매는 결국 외국 기업들의 몫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