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버팔로대학 현대어문학과 한국학 주임이자 이 대학 부설 세종학연구소 소장인 김석연 교수(73)가 최근 훈민정음에 대한 방대한 영문 연구서를 출간했다.
‘The Korean Alphabet of 1446’이라는 제목의 이 연구서는 “인간의 발음을 가장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문자는 한글밖에 없다”는 김 교수의 신념과 주장을 음성학적, 철학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김 교수는 이 책에서 훈민정음이 세종 단독 창제품임을 주장하고 그 사상적 배경으로 정음(正音)사상을 지목하고 있다. 또 정음사상은 바로함(rectification)에 그 핵심이 있다고 설명한다.
아울러 김 교수는 정음의 창제 원리는 세종 때의 음성학 이론과 발음생리적, 청각적 다차원을 반영한다고 밝히고 있다. 특히 이번 연구서는 정음자가 조음형태(articulatory tracings)와 청각적인 상관성(acoustic correlates)을 시각화한 글자임을 동영상 촬영을 통해 밝히고 있다.
끝으로 김 교수는 훈민정음의 실용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정음이야말로 지구상 모든 나라 언어를 가장 손쉽게 표기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지난 30년동안 훈민정음 연구에 진력해온 김 교수는 문자없는 소수민족이나 부족에게 훈민정음을 표기문자로 보급하는 활동도 펼쳐 왔으며, 미국 원주민 부족인 세네카족에게 훈민정음을 교육하기도 했다.
<온기홍기자 khohn@etnews.co.kr>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시론]AI 패권의 새로운 질서
-
2
[ET단상] 양자와 AI 시대, K보안 도약을 위한 제언
-
3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4
[ET톡] AI와 2차 베이비부머의 미래
-
5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4〉AI '앱 경제'를 '에이전트 경제로' 바꾸다
-
6
[황보현우의 AI시대] 〈25〉고독한 사람들과 감성 AI
-
7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8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9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
10
[GEF 스타트업 이야기] 〈57〉더 나쁜 사람 찾기, 손가락질하기 바쁜 세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