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포털 다음커뮤니케이션이 추진중인 ‘온라인 우표제’가 시행 전부터 업계의 반발에 부닥쳤다. 다음이 이 달 말부터 하루 1000통 이상 e메일에 대해서는 요금을 부과하겠다는 우표제 시행 방침을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22개 인터넷 업체가 ‘e메일 자유 모임’을 결성하고 이를 정면으로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급기야 22개사 대표가 기자간담회를 열고 다음의 유료화 정책을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집단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다음 역시 한치도 물러나지 않을 것으로 보여 당분간 온라인 우표제를 놓고 양 측의 힘겨루기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를 관망하는 네티즌이나 업계 역시 찬반으로 갈려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이는 그 만큼 온라인 우표제가 동전의 양면을 모두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물론 사건의 이면에는 겉으로 내세우는 명분보다는 실리가 깔려 있다. 다음은 스팸메일을 방지하고 보다 수준 높은 e메일 서비스를 위해서 온라인 우표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폭주하는 메일을 제한해 서버 비용 부담을 줄이고 나아가 매출까지 올리겠다는 비즈니스 마인드를 갖고 있는게 사실이다. 다음의 e메일 유료화 정책을 반대하는 업체들 역시 부상하고 있는 e메일 마케팅 산업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상당히 설득력 있는 명분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유료화에 따른 e메일 발송 비용 부담을 걱정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결국 이번 사건은 업체 간 이해가 극단적으로 표면화된 케이스이고 여론몰이를 통한 ‘세겨루기’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이해 관계에 따른 업체 대립과 경쟁은 시장 논리에 따라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단지 이 같은 두 세력의 힘겨루기가 과연 네티즌에게 어떤 모습으로 비춰 질지 걱정스러울 뿐이다.
다음이 온라인 우표제 시행을 발표한 것은 올 초였다. 충분히 서로 조율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시간이 있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양 측은 한 번도 해결책을 위한 협상 테이블을 마련한 적이 없다는 전언이다. e메일 서비스 업체가 다음의 막강한 브랜드 파워와 회원이 필요하듯이 다음 역시 e메일 마케팅 업체를 통해 마케팅 면에서 간접적인 도움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인터넷 기업을 평가하는 최우선 가치는 누가 뭐래도 브랜드 이미지와 회원 수다. 양 측의 이같은 메아리 없는 논쟁이 가뜩이나 어려운 인터넷 시장에 엎진데 덮친 격으로 네티즌까지 등을 돌리지 않을까 우려된다.
<인터넷부·강병준기자 bjkang@etnews.co.kr>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2
SK하이닉스, 美 인디애나 법인장에 이웅선 부사장 선임
-
3
[ET시론]K콘텐츠 성장과 저작권 존중
-
4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
5
[ET시선] 국회, 전기본 발목잡기 사라져야
-
6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7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3〉미래를 설계하다:신기술 전망과 혁신을 통한 전략 (상)
-
8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21〉트렌드 반영한 3C관점 디지털 소통효과 측정해야 낭비 제거
-
9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10
[IT's 헬스]“중장년 10명 중 9명 OTT 시청”…드라마 정주행 시 조심해야 할 '이 질환'은?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