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IMF 외환위기를 겪은 후 ‘뜬’ 시장이 있다면 그중 하나는 컨설팅 영역이 분명하다. 경영 전반의 ‘틀’을 잡아주는 전략 컨설팅으로 시작될 때만 해도 컨설팅은 아무나 받을 수 있는 게 아니었다. 물론 아무나 할 수 있는 일도 아니었다.
이런 컨설팅 시장은 최근 들어 그 층이 매우 다양해졌다. 정부의 IT산업 육성정책과 맞물리면서 정보기술(IT) 컨설팅을 비롯해 정보전략(ISP), 생산·구매 등 기업 경영과 관련해 세분화된 영역으로 확대됐다. 또 디지털경제라는 새로운 경제질서 요구에 부응하는 ‘e비즈니스 컨설팅’이라는 말도 생겨났다.
시장이 세분화됨에 따라 수행기관 역시 다층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컨설팅 시장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 컨설팅 시장 안에 우리가 없다. 내로라하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각종 프로젝트는 소위 ‘빅5’라는 외국계 업체가 대부분 차지하고 있고 그 일부를 국내 SI업체의 컨설팅 사업부문에서 거들고 있을 뿐이다.
이런 현실은 곧 ‘국내 컨설팅산업의 싹을 찾기 힘들다’는 얘기고, ‘재생산의 고리를 찾을 수 없다’는 의미다. 물론 오랜 경험으로 축적된 그들의 방법론을 따라잡기는 어렵다. 컨설팅 시장에서 브랜드 가치는 허울 좋은 껍데기가 아닌 노하우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컨설팅의 성공 여부가 단순히 훌륭한 방법론에 있기보다는 발주기관의 분명한 목적과 프로젝트 관리 등 다양한 요소가 함께 제공돼야 성공 가능하다고 볼 때 지나치게 브랜드에 의존하고 있는 발주기관의 문제는 짚어봐야 한다.
우수한 방법론으로 프로젝트를 획득하고, 이것을 토대로 다시 지식을 견고히 하는 ‘재생산 구조’를 갖춘 그들을 모셔오는 일을 언제까지 되풀이해야 하는가. 국내 대기업의 PI 컨설팅 성공사례를 기반으로 동남아 시장 진출 전략을 세우고 있는 외국계 컨설팅 국내 법인의 사례를 우리 것으로 만들어야 하지 않겠는가.
이것이 ‘소프트웨어산업의 육성이 필요하듯 컨설팅 시장의 육성이 필요할 때’라는 관계자들의 지적에 정부가 귀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디지털경제부·신혜선기자 shinhs@etnews.co.kr>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2
SK하이닉스, 美 인디애나 법인장에 이웅선 부사장 선임
-
3
[ET시론]K콘텐츠 성장과 저작권 존중
-
4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
5
[ET시선] 국회, 전기본 발목잡기 사라져야
-
6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7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3〉미래를 설계하다:신기술 전망과 혁신을 통한 전략 (상)
-
8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21〉트렌드 반영한 3C관점 디지털 소통효과 측정해야 낭비 제거
-
9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10
[IT's 헬스]“중장년 10명 중 9명 OTT 시청”…드라마 정주행 시 조심해야 할 '이 질환'은?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