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중 핸즈프리 사용 사고예방 큰 효과 없다

 최근 세계 각국이 운전 중 휴대폰 통화를 금지하면서 핸즈프리장치를 이용한 통화는 허용하는 추세에 있으나 이 장치가 운전자의 주의력 분산을 줄이는 데 별 효과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로이터통신(http://www.reuters.com)은 미국 유타대 연구팀이 월간 ‘인저리 인사이트’ 최근호(8, 9월호)에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 운전 중 휴대폰을 이용할 때의 반응속도가 라디오를 듣거나 주파수를 조정할 때보다 현저히 늦어지며 핸즈프리장치를 이용한다 해도 늦은 반응속도에는 별 차이가 없다고 소개했다.

 연구팀은 총 64명을 대상으로 적색신호 정지와 돌발상황 브레이크 작동 등의 교통상황을 설정하고 라디오·녹음테이프 청취나 주파수 변경, 차량안에서의 대화, 휴대폰 통화, 핸즈프리를 이용한 휴대폰 통화 등을 할 때의 반응속도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이 연구에서 운전자가 휴대폰을 이용할 때는 라디오를 청취할 때보다 교통신호에 대한 반응속도가 크게 늦어졌으며 교통신호를 아예 무시하고 통과하는 사례가 2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핸즈프리장치 이용과 그렇지 않을 때의 휴대폰 통화 사이에는 반응속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팀은 휴대폰 통화가 운전자의 주의력을 뺏는 것은 휴대폰을 들고 있거나 장치를 조작하기 때문이 아니라 정신을 집중해야 하는 통화 그 자체에 있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미국에서는 뉴욕주가 최초로 운전 중 휴대폰 통화를 금지하면서 핸즈프리장치를 이용한 통화는 허용하는 방향으로 법안을 제정해 올해말부터 시행할 예정이며 다른 주들도 이를 뒤따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미국에는 1억2000만대의 휴대폰이 보급돼 있으며 운전자 중 약 75%가 운전 중 휴대폰 통화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기선기자 kssuh@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