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장비 수요예보제, 추진된다

수조원 규모로 확대된 통신서비스업체 및 공공기관의 전송·교환·초고속인터넷 장비, 그리고 네트워크 장비의 1년치나 6개월치 구매물량을 사전에 집계·예보하는 통신장비 수요예보제가 추진된다.

이에 따라 통신사업자나 공공기관 등의 수요 정보에서 소외돼온 국내 중소 장비업체들도 보다 신빙성 있는 수요처의 향후 구매물량과 제품 도입일정(로드맵)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개발 전략이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통신부 초고속정보망과 이재홍 과장은 25일 『국내외 통신장비업체들이 수요 예측이 어려워 효과적인 대처가 어렵다고 지적해왔다』며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사전 준비작업을 거쳐 오는 3월 말께 통신장비 수요예보제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통부는 한국전산원을 통해 국내 통신사업자와 공공기관들의 구매물량·시기·품목 등을 조사해 각 기관별로 수요량을 발표할 방침이다. 발표 내용에는 향후 6개월치 소요물량부터 1년치 소요물량, 그리고 통신사업자의 경우에는 중장기 계획 등도 포함해 통신장비업체가 사전에 준비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해줄 방침이다.

이 과장은 『상세품목까지는 발표하기 어렵지만 몇 기가급 라우터, 통신사업자가 요구하는 망 관리 기능 등 비교적 상세한 내용까지 포함하도록 조사할 계획』이라며 『우선은 1년에 한 차례 공표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신장비 수요예보제가 정착되면 국내 장비업체들은 정확한 수요 예측을 기반으로 「타임투마켓」 전략 수립이 가능해지며 통신사업자나 공공기관 등은 보다 많은 장비업체들의 입찰 참여를 유도, 구매가 인하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정통부는 소프트웨어산업협회와 공동으로 각 공공기관·통신사업자·학교·정부 산하기관의 1년치 SW 구매물량을 집계·발표하는 SW 수요예보제를 시행 중이다.

<유형준기자 hjyo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