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석학> 학습조직이론 선구자 데이비드 가빈

 새로운 것을 배우지 않는 조직은 발전이 없다. 문제의 해결, 제품의 도입, 프로세서 리엔지니어링 등은 모두 조직으로 하여금 새로운 각도에서 세계를 바라보고 행동하게끔 요구하는 것들이다. 학습이 이뤄지지 않으면 조직과 조직원은 옛 관행을 단순 반복하는 일만 계속할 뿐이다.

 데이비드 가빈(David A Garvin)에 따르면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이란 끊임없이 지식을 창출해 획득하고 확산시키는 데 능숙한 조직을 말한다.

 잘 훈련된 학습조직은 또한 잘못된 지식과 효용성이 낮은 관습을 폐기하는 의사결정도 매우 빠르다. 끊임없이 실험을 하며 과거의 행동을 방어하기보다는 새로운 행동양식을 고안하는 데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순응보다는 논쟁을 장려하는 것도 특징이다. 조직 전체의 능력은 이같은 개인 학습활동의 결과가 승화돼 나타나는 것이란 게 바로 학습이론의 골자다.

 74년 하버드대를 수석졸업한 가빈은 79년 MIT에서 경제학박사를 받고 같은해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에 취임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강의 외에 보잉·질레트·GTE·3M·워너­램버트 등 주요기업들의 경영컨설팅과 기업프로그램 개발에 주력하는 등 산학 병행 활동을 통해 학습조직이론을 완성했다. 「Learning in Action」 등 8권의 저서와 「Building a Learning Organization」 등 25개의 논문, 4개의 비디오테이프가 있다.

 세계 최고권위의 경영논문총서인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그 해의 최우수 논문에 수여하는 「매킨지」상을 3번이나 수상했다. 관련사이트는 「www.people.hbs.edu/dgarvin」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