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高 약효" 줄었다

 엔고에 대한 일본기업의 적응력 향상, 국제유가 및 금리인상 등으로 최근의 엔고효과는 과거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날 전망이다. 따라서 수출호조를 기대하기보다는 오히려 엔 차관에 대한 이자 및 원금상환 부담, 일본으로부터의 수입부담 증가 등의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15일 한화경제연구원이 내놓은 「엔화강세 전환과 파급효과」 분석자료에 따르면 최근에는 엔화가 강세를 보이더라도 일본 업체들이 환율하락분을 수출제품 가격에 크게 전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엔화절상에 따른 수출가격 전가율은 1차엔고(85년 2월∼88년 11월)때 평균 57.6%였으나 2차엔고(90년 4월∼95년 4월)때는 28.2%로 크게 낮아졌다.

 또 작년 8월부터 올 5월까지 3차엔고 초기의 수출가격 전가율은 2.2%에 그쳐 1차엔고 초기(11.1%)와 2차엔고 초기(18.6%)에 비해 급격히 떨어졌다.

 한화경제연구원은 일본과 우리나라가 전세계 시장에서 유사한 수출제품으로 경쟁하지만 최근 엔고로 인해 우리나라가 크게 혜택을 본 것은 없다고 말했다. 연구원은 이와 함께 원화의 동반강세로 인한 엔고효과 상쇄, 지연된 설비투자 확대로 인한 자본수입 증가 등도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한화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엔화강세에 따라 수출호조를 기대하는 것은 엔고효과를 너무 과대평가한 면이 크다』면서 『자본재의 수입선 다변화, 수출단가 상승에 의한 채산성 확보 등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