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iBiz 17> 표류하는 "인터넷 관광" 육성 정책

 「사이버 관광객을 잡아라.」

 월드컵 개최와 함께 최대의 수익을 노리고 있는 산업이 바로 관광분야다. 특히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사이버 관광은 그 어느 때보다 「황금알을 낳는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미 미국에서는 온라인 여행수수료 시장이 지난해 31억 달러를 넘어섰고 2002년에는 인터넷여행 시장이 11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인터넷을 통해 관광 상품을 구입하는 네티즌들만 4억50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여 그야말로 사이버 관광의 대중화시대가 눈앞에 성큼 다가왔다. 최근 IDC가 조사한 한국의 인터넷 시장전망에서 오는 2000년 사이버 관광분야가 가장 큰 28%의 시장을 점유한다고 예상한 것도 앞으로 사이버 관광의 앞날을 밝게 해주는 좋은 예다.

 세계적인 사이버여행사 트래블로시티·익스피디어·프리뷰트래블 등은 세계 여행시장을 독점하기 위해 다각적인 사업확충 작업을 벌이고 있다. 세계적인 포털사이트와의 제휴를 추진하는가 하면 신개념의 여행상품 개발로 고객유치에 여념이 없다.

 반면 국내 인터넷여행 업계는 이제 사업을 시작하는 단계다. 출발선부터 크게 뒤처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사이버 관광 진흥책은 잠만 자고 있다. 정부의 각 행정부처들이 정보화 확산에 잰걸음을 재촉하고 있을 때 유독 관광산업을 책임지고 있는 문화관광부의 정보화는 거북이 걸음을 걷고 있다. 각 행정부처는 지역정보화를 위해 도·시·군 단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교육전산망 사업에 대규모 예산을 들여 장기적인 교육정보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반해 문화부의 관광정보화 사업은 초라하기 그지없다. 문화부가 문화 사이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내년에 투입하기로 한 예산은 365억원. 이 안에 따르면 문화부는 문화산업 정보화에 26억원, 문화예술 정보화에 46억8000만원, 문화유산 정보화에 58억7000만원, 행정정보화에 31억8000만원, 도서관 정보화에 87억5000만원, 정보화 여건조성에 35억9000만원, 관광정보화에 7억9000만원, 체육정보화에 65억2000만원 등을 투입키로 했다. 결국 사이버 관광산업과 직결된 관광정보화 예산은 7억9000만원으로 전체 예산 중 2%가 조금 넘는 수준에 불과해 내년 역시 정부의 획기적인 사이버 관광 진흥책은 기대하기 힘들게 됐다.

 업계로서는 그나마 희망을 걸고 있는 것이 관광벤처기업 지정이다. 문화부가 30억원, 민간이 20억원을 출자해 지난 7월 설립한 새천년관광투자조합을 사이버 관광산업 진흥의 유일한 대안이자 희망으로 여기고 있다. 그러나 이 사업도 시행 한달이 조금 지나 자금 운용과 근본 취지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벤처지원자금이 사이버 관광업체만을 위한 것도 아니고 연간 한도액도 25억원으로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이미 13억원이 3개 기업에 지원돼 앞으로 남은 돈은 12억원에 불과하다. 또 이미 지원된 자금 중 인터넷 여행업체인 「3W 투어」가 5억원의 벤처지원자금을 받았다. 그러나 이 업체는 최근 콘도·호텔비용 등의 체불로 물의를 일으켜 신뢰성에 큰 오점을 남겼다. 인터넷산업 성공의 첫번째 요건이 신뢰성 확보라는 측면을 고려해 볼 때 국내 사이버 관광 대표업체로서 전체 물을 흐려놓은 결과를 초래했다. 이는 결국 문화부가 시행하고 있는 관광벤처기업의 기준마저 의심스럽게 한다.

 또 관광벤처 지정요건 중 「전년 대비 300% 신장」이라는 대목은 투자회수 기간이 긴 관광산업의 특성상 현실성이 없으며 특히 사이버 관광업체의 경우 설립 1년이 채 안된 업체가 대부분이어서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나마 벤처자금 지원은 「그림의 떡」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문화부의 한 관계자는 사이버 관광에 대해 『대책이 없는 것이 사실』이라며 『조속한 시일내에 안을 마련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책 부재를 사실상 시인한 셈이다.

 현재 국내 관광산업은 재래식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관광산업은 국가의 문화자본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문화관광 정책은 크게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사이버 관광은 인터넷산업의 전형적인 모델로 시장이 해마다 100% 이상의 신장을 거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대책은 거의 전무한 상태다. 설사 민간 주도로 부흥한 산업일지라도 정부가 나서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산업이라면 우선 마인드부터 바꿔야 한다.

<이경우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