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벤처기업 (214)

 휴렛과 패커드의 HP는 처음에 군 관계의 계측장비를 개발하고 그것을 생산해서 납품했다. 군 장비 판매는 한계가 있었지만, 세계 2차대전이 터지고, 한국전쟁이 일어나면서 호황을 누렸다. 그러나 HP가 단순히 외부적인 원인에서 성공한 것이 아니고, 스탠퍼드대학과 산학협동을 통해 우수한 기술인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했고 기술계·학계·정계·재계의 인맥을 폭넓게 활용했으며, 전문 분야에만 전력투구해서 최고의 기술을 보유했다. 합리적인 운영방식으로 소유와 경영을 분리했다.

 『나는 최 선생과 다른 생각이오. 기술자는 기술연구에 몰두하고, 경영은 전문가가 한다고 생각하지요. 물론, 기술자로서 전문 경영인 못지 않은 마케팅 능력이 있으면 다르겠지만.』

 그는 그의 사촌형인 공 사장과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언론재벌 루퍼트 머독은 런던에서 신문사 기자생활을 했기 때문에 구독자의 취향을 알 수 있었고, 그래서 최고의 마케팅을 할 수 있었다고 봅니다. 당시 구독자의 취향이 딱딱한 글자만 읽는 기사 위주보다 시원한 그림이나 사진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간파한 것이지요. 그래서 편집 방향을 바꿀 수 있었고, 미디어 산업에 뛰어들 수 있었다고 봅니다. 루치아노 베네통도 마찬가지입니다. 그가 양복점 점원으로 있었기에 소비자의 취향을 파악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머독은 영국 버밍엄의 가제트지에서 기자생활을 하는 동안 개 달리는 경주를 즐겼다. 그런데 사람들이 스포츠 기사를 가장 많이 읽는 것을 보고, 언론이 정보를 주는 기능 못지않게 사람의 머리를 식히게 하고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쉬운 기사를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던 것이다. 마케팅에서 뛰어난 본보기는 재일교포 손정의의 소프트뱅크다.

 기술자 출신인 손정의가 관심을 가진 것은 소프트웨어의 제작이 아닌 유통이었다. 그는 일본에 컴퓨터 소프트웨어 시장이 형성되었지만 생산자와 판매자간의 연결이 열악하다는 것을 파악하고 전국 규모의 유통망을 만드는 데 뛰어들었던 것이다.

 『기술자가 경영자가 된다는 것이 그렇게 쉬운 것은 아니지요. 최 선생은 지금 성공한 사람들을 언급했는데, 그보다 더 많은 기술자들이 실패를 했을 것입니다. 실패한 수많은 사람들은 관심 밖이니까 전혀 없는 것 같지만 성공한 자들보다 훨씬 많지요. 내 말을 나쁘게 듣지 마시오. 그렇다고 선생이 실패할 것이라는 말은 아니니까.』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