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본격적인 문화교류가 시작되면서 일본 음악출판사협회(MPA) 및 음악저작권단체와의 교류를 트기 위한 국내 음악저작권 관련 단체들의 발걸음이 분주.
특히 KMPA(회장 변대윤)와 한국MPA(회장 손혜민) 등으로 이분화돼 있는 한국 음악출판사협회들은 최근 방한한 일본 MPA 관계자들과 잇따라 회동을 가지면서 자신들이 한국대표임을 과시하기에 급급.
그러나 이들 단체와 만난 일본 MPA 관계자들이 『민간차원의 자발적 협력이기 때문에 양 협회 모두와 교류하기로 했다』고 밝혀 한국측 관계자들이 맥빠진 기분이 들면서도 한편으로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는 후문.
한 관계자는 일본 MPA 관계자들이 『일본의 경우도 과거 여러 개의 음악출판사협회가 존립해 경쟁하는 양상을 띤 적이 있어 한국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한국 역시 조만간 MPA들이 통합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조언했다고 전언.
<정지연기자 jyjung@etnews.co.kr>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시론]AI 패권의 새로운 질서
-
2
[ET단상] 양자와 AI 시대, K보안 도약을 위한 제언
-
3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4
[ET톡] AI와 2차 베이비부머의 미래
-
5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4〉AI '앱 경제'를 '에이전트 경제로' 바꾸다
-
6
[황보현우의 AI시대] 〈25〉고독한 사람들과 감성 AI
-
7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8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9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
10
[ET시선] 국회, 전기본 발목잡기 사라져야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