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우주센터 유치전 치열

 지역주민의 님비현상으로 후보지 선정에 난항이 예상됐던 국가우주센터 건립이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적극적인 유치경쟁으로 조만간 해결될 전망이다.

 14일 과학기술부와 국가우주센터 후보지 선정용역사업을 진행중인 항공우주연구소에 따르면 정부가 오는 2005년까지 1000억원을 들여 발사대와 안전지역 등 총 10만평 부지에 우주센터 건립을 추진키로 하고 후보지를 물색하고 있는 가운데, 경상남도·전라남도·울산시 등 지방자치단체들이 이 센터를 지역내 유치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이들 지자체는 내년도 총선을 겨냥, 지역출신 국회의원과 자치단체장이 직접 유치전에 나서고 있어 오는 7월로 예정된 우주센터 후보지 최종 선정결과가 주목된다.

 경상남도의 경우 지난 3월 말 진주 경상대에서 지역주민 등 350명이 참석한 가운데 「우주센터 유치 심포지엄」을 개최한 후 과기부와 항우연에 우주센터를 경남지역에 건설할 것을 공식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경남도는 이 공문에서 우주센터 후보지로 진해시 명동, 사천시 비토섬, 거제시 하청면 칠천도, 고성군 동해면 용정리, 하일면 자란도, 남해군 상주면 양아리 등 6개 지역이 적합한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경남도는 특히 사천·사남·용현면 일대 60만평에 항공우주관련 벤처기업 입주를 위한 서부 경남첨단산업단지를 조성중에 있으며 전국 83개 항공관련 업체 중 51개사가 밀집해 있고 기계연 부설 항공우주부품소재 공동연구센터, 경상대 항공기 부품기술연구센터, 창원대 메카트로닉스 지역협력연구소, 삼성항공 등 항공3사의 연구소가 산재해 있어 우주센터 건립 최적지라고 주장했다.

 전라남도의 경우 지난 91년 우주센터 건립 1차 타당성 조사에서 소흑산도 일대에 대한 타당성 검토가 이뤄진 점을 내세워 여수시를 중심으로 유치전에 본격 나서고 있다.

 전남도는 최근 항우연에 우주센터 유치의사가 있음을 통보하고 전남도 자체적으로 도서지역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통해 예상 후보지를 선정, 조만간 과기부와 항우연에 공식적으로 후보지를 추천할 계획이다.

 울산시는 지역출신인 자민련 차수명 의원을 통해 울산일대의 해안지역을 우주센터 건립 후보지 선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대상에 포함시켜줄 것을 과기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강원도 원주시도 조만간 지역내 우주센터 건립을 검토해달라는 건의문을 과기부에 보낼 예정이다.

 이에 반해 우주센터 건립 최적지로 부각됐던 제주도 가파도·마라도 지역의 경우 제주도측이 국제자유도시 건립과 휴양관광도시 유지라는 이유를 들어 후보지에서 제외시켜달라는 공문을 보내 다른 지역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지자체간 우주센터 유치경쟁은 위성발사 횟수가 연간 2∼3회에 불과해 환경문제가 적은데다 관광객 유입효과가 커 지자체 수입증대 기여도가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지난 3월 로켓발사에 따른 비행궤도 분석을 마친 항우연은 4월중 대상지역을 선별, 5·6월께 해당지역 현장실사를 거쳐 오는 7월 우주센터 설립지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정윤 과학기술부 연구개발심의관은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이 우주센터 유치를 희망해 오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우주센터 건설은 지자체의 희망에 따라 좌우될 수 없으며 발사체의 비행궤도 등 과학적인 분석결과와 발사장 건설비용 등 기술적인 문제, 인접국과의 외교·국방적인 문제 등을 고려해 검토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정창훈기자 chjung@etnews.co.kr

김상룡기자 srk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