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Y2k 카운트다운> 21세기 길목 "통과의례" 혹독할 듯

 「Y2k문제가 발등의 불로 떨어졌다.」

 2000년이 1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인류는 20세기의 마지막을 마감하는 통과의례를 톡톡히 치를 전망이다. 그동안 인류문명 발전에 공헌해 온 컴퓨터와 전산정보시스템이 컴퓨터 2000년표기(Y2k)문제로 정상작동을 예측하기가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미국·일본·유럽 등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경우 전산정보시스템은 국가와 기업 및 개인들의 신경망 역할을 수행하면서 산업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지만 Y2k문제가 대두되면서 세계 주요국가의 전산정보시스템에 비상이 걸렸다.

 만약 의료보험 전산시스템에 이같은 일이 발생할 경우 2000년에 출생한 어린아이가 1900년에 출생한 것으로 혼동돼 의료보험 체계에 혼란을 줄 가능성이 있으며 은행 전산시스템에 Y2k문제가 발생하면 이자계산 체계가 엉망이 될 수 있다. 특히 전력·통신시스템 등에 Y2k문제가 발생하면 국가 전체가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Y2k문제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반드시 해결해야 할 핵심과제로 떠오르면서 미국·영국·캐나다 등 주요 국가들은 범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부심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들은 지난해말부터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민들에게 Y2k문제로 혼란이 야기될 경우를 대비한 행동지침을 전달하고 있다.

 또 미국에서는 Y2k문제를 안고 있는 소프트웨어나 금전등록기 등을 판매한 업자들을 상대로 한 소비자들의 소송이 잇따르고 있어 Y2k문제로 인한 소송사태도 커다란 문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국무조정실 산하에 「컴퓨터 2000년문제 대책협의회」를 설치하고 「컴퓨터 2000년문제 종합대책」을 수립해 98년부터 본격적인 Y2k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정부는 우선 지방행정·금융·원전·전력에너지·통신·운송·항만·의료·중소기업·산업자동화설비 등 10개 부문을 「중점관리부문」으로 선정하고 98년 4월 민·관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각 분야별 Y2k 대응실태 및 진척상황 파악에 나서 왔다.

 게다가 Y2k문제가 발등에 떨어진 불처럼 시급하다는 여론이 곳곳에서 제기되면서 지난해 하반기부터 Y2k문제에 대한 관심은 전산시스템 관리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 및 기업·단체의 최고위층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Y2k 대응이 늦은 감이 있다고 한결같이 지적한다.

 주요 공공기관과 대기업 및 금융권 등은 이미 Y2k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지만 진척 정도나 문제해결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중소기업들이나 공장자동화기기 등 비전산분야는 Y2k 대책마련이 전무한 실정이기 때문.

 중소기업들의 경우 97년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 및 기업간 구조조정 등의 여파로 사업전망이 불투명해진 데다 자금난까지 겹쳐 전산·비전산시스템에 대한 Y2k 대응방안은 엄두도 내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특히 일부 중소기업의 사장들은 『2000년이 되기 전에 회사가 문을 닫을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Y2k문제에 자금을 투입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까지 말하기도 했다.

 Y2k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Y2k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시스템이나 기업의 Y2k 영향평가, 대응계획 수립, Y2k문제에 완벽하게 대처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한 비상계획 수립 등의 청사진을 수립한 뒤 본격적인 Y2k해결작업에 나서고 이후 그동안의 해결과정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99년부터 Y2k 대응작업에 나서면 일정상 촉박할 수밖에 없다는 것.

 특히 비교적 넉넉한 시간을 갖고 Y2k문제에 대처해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했다고 발표한 금융권이나 대기업들도 외부기관으로부터 평가를 받거나 검증작업을 거친 결과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했다는 진단을 받은 사례도 발생하고 있어 시간에 쫓기는 기업들이 과연 효과적으로 Y2k문제에 대처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에 따라 Y2k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됐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Y2k 인증과 관련한 부문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며 솔루션들은 단시일 내에 날짜코드를 변환시켜주는 제품 중심으로 시장이 일부 형성될 전망이다.

 Y2k 인증과 관련, 지난해말 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진흥협회가 국가공인 인증기관 설립을 추진했으나 자금문제로 계획이 취소됐으며 민간업체들을 중심으로 인증기관 설립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종전까지 Y2k솔루션을 공급하던 업체들은 지난해 솔루션시장이 침체돼 사업에 어려움을 겪자 대책마련의 하나로 인증기관 설립에 잇따라 참여할 채비를 하고 있다.

 또 올해부터는 Y2k문제를 내포한 기기나 시스템을 공급한 업체들과 소비자들 사이의 법적공방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아직까지 국내에는 Y2k문제와 관련한 소송이 제기된 적이 없지만 일부 기기들이 올해부터 Y2k문제로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 그 책임소재를 놓고 공급자와 사용자간의 법정다툼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전산원의 한 관계자는 『올해부터 Y2k 대응에 나선다는 것은 늦은 감이 있지만 그래도 해당 기업의 문제가 어느 정도 심각한지를 파악하고 대응계획 및 비상계획을 수립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며 『Y2k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당장 올해부터 기업간 거래에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며 Y2k문제에 하루빨리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휘종기자 hjyoo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