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초, 중, 고교는 일반 전화 증설시 설비비와 장치비를 면제받고 초고속국가망의 인터넷서비스를 상용요금의 14%수준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정보통신부는 초, 중, 고등학교의 정보통신 이용환경 개선을 위해 전화 회선을 대폭 증설하고 PC통신과 인터넷 이용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초, 중, 고교의 정보통신 이용환경 개선 방안」을 마련,1일 본격 시행키로 했다.
정부가 초중고교의 정보통신 이용환경 개선에 적극 나서기로 한 것은 현재 전국 1만9백28개 초중고교 교무실에 설치된 교원용 일반전화가 2만6천6백93대로 학교당 평균 2.5대, 전화 1대당 이용교원수 12.6명, 교원 1백인당 7.8대에 불과,국내 전화 보급율(1백인당 44대)에 크게 못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보통신의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PC통신과 인터넷의 경우는 대부분 근거리통신망(LAN)등 고속 환경이 갖춰져 있지 않아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정보통신 예산 또한 일반 기업보다 크게 뒤떨어져 있는 형편이다.
이에 따라 정통부는 우선 각급 학교의 전화회선 증설이 시급하다고 판단,학교의 전화보급율을 교원 1백인당 30대 수준으로 4배정도 높일 수 있도록 한국통신을 통해 총 7만6천2백20대의 전화 증설을 지원키로 했다.
한국통신은 학교측의 예산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증설되는 전화에 대해 약 1백65억원에 달하는 설비비를 면제해주는 한편 전화 신청시 착신기능과 착, 발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착신기능만 선택할 경우에도 약 11억원 규모의 장치비를 면제해주고 전화기도 무료로 임대해 줌으로써 학교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켜주기로 했다. 정통부는 또한 PC통신과 인터넷이용 환경 개선을 위해 이달말부터 개시되는 초고속 국가망 인터넷 서비스 제공시, 학교에 대해서는 특별요금 체계를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9월말부터 12월말까지 시범서비스기간중에는 무료로 하고 상용서비스가 시작되는 내년 1월부터는 상용 인터넷 서비스 요금의 14%수준으로 서비스를 제공키로 했다.
이와함께 다이얼업 방식 등을 통한 교원 및 학생들의 인터넷 이용을 지원키 위해 인터넷 사업자들과 협의해 상용서비스 요금보다 싼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또한 인터넷 활성화로 수요가 늘고 있는 협대역종합정보통신망(N-ISDN)서비스의 이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학교에 대해 가입비 10만원을 면제해주는 한편 시설용량과 서비스 대상지역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최승철 기자>
IT 많이 본 뉴스
-
1
자체 모델·오픈소스·MS 협력…KT, AI 3트랙 전략 가동
-
2
애플, 이달 19일 신제품 공개…아이폰SE4 유력
-
3
성산전자통신, EMC 시험용 SSPA 국산화 개발 성공
-
4
NHN, '티메프' 불똥에 적자 전환... 올해 AI 사업 확장·게임 6종 출시 예고
-
5
이노와이어리스, 네트워크 측정·분석에 AI 접목…해외시장 공략
-
6
[협회장에게 듣는다]이병석 한국IPTV방송협회장 “IPTV 생존 위해 규제완화 절실”
-
7
알뜰폰 도매제공 60일 이내로, 망 원가 반영해 요금 낮추는 '코스트 플러스' 방식 적용
-
8
IP 확보 나선 중견 게임사… 외부 투자 확대
-
9
한국IPTV방송협회, 유료방송 법·제도 개선 주력
-
10
염규호 KMDA “이통사 담합은 불가능…조 단위 과징금 부과땐 유통망 고사”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