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64MD램 공급과잉 일어날까

16MD램에 이어 64MD램 시장에서도 공급과잉 현상이 일어날까.

계절적 비수기를 맞아 16MD램 가격이 약세를 면치 못하면서 당초 예상했던 64MD램 시장 조기형성 가능성이 불투명해지자 최근 64MD램의 공급과잉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조심스럽게 고개를 들고 있다.

이같은 우려는 업계가 기대했던 16MD램과 64MD램의 비트당 가격이 같아져 대체가 본격화되는 「비트 크로스」 시기가 16MD램의 가격약세로 지연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에서도 업체들의 64MD램 생산능력 확충이 빨라지고 있는 데 그 배경을 두고 있다.

당초 업계가 올 4‘4분기를 비트 크로스 시기로 점쳤던 것은 개당 가격이 16MD램은 10달러 정도, 64MD램은 40∼45달러선을 유지할 것이라는 예상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16MD램 가격은 64MD램 시장확대 시기를 앞당기는 가장 중요한 기준인데 앞으로도 7∼8달러선을 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생산업체들이 손해를 보면서 64MD램으로 주력시장을 이전할 분위기가 조성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서버 시장을 제외하고는 이렇다할 수요처가 없다는 것도 64MD램 시장의 조기형성을 불투명하게 만드는 요인이다.』(데이터퀘스트 한국지사 관계자)

반면 생산업체들의 64MD램 생산능력 확충 노력은 숨가쁘다. 반도체업체들은 항상 차세대 시장을 선점하지 못하면 D램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올 연말 기준으로 선발업체인 삼성과 NEC는 각각 월 6백만개와 4백만개 정도를, LG반도체는 3백만개, 도시바, 미쓰비시, 히타치 등 나머지 일본업체들과 현대전자도 평균 월 2백만개 이상씩은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16MD램의 가격약세에 대응, 원활한 비트 크로스를 이루기 위해 한, 일의 대다수 업체들이 웨이퍼 1장당 최대 2백50개 가량을 가공할 수 있는 2세대 제품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세대 제품은 최대 1백50개 가량을 생산할 수 있는 1세대 제품보다 생산량을 크게 늘릴 수 있어 이럴 경우 오는 10월 이후 64MD램의 생산량은 월 2천만개를 넘어설 것으로 보는 관측이 유력하다. 여기에다 최근 일본업체를 등에 업은 대만의 64MD램 조기생산 움직임을 감안하면 공급과잉 가능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현재 D램 업체들의 수율을 고려할 때 생산능력만으로 시장상황을 예측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한, 일 반도체업체들이 올 들어 64MD램 증산에 주력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수율면에서는 1, 2개 업체를 제외하고는 아직 본격적인 「램프 업(Ramp Up)」은 불가능한 것으로 분석된다.』(노무라연구소 한 관계자)

현재 삼성과 NEC를 제외한 대다수 업체들의 수율은 대략 30∼50%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같은 추세가 계속될 경우 특별한 공급과잉 요인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 연말부터 본격화될 PC메인메모리에의 64MD램 채용 분위기는 향후 업체들의 수율제고를 흡수하고도 남는다는 지적이 강하다. 특히 최근 들어 64MD램 엑시머레이저 노광장치와 트랙장비 등의 구득난도 64MD램의 급격한 증산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때문에 현재로선 시장상황을 결정짓는 최대변수인 수율과 수요를 고려할 때 연내는 물론 98년 초까지 64MD램의 공급과잉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 지배적인 시각이다.

<김경묵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