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정보통신기업협의회 소속 70여개 회원사들이 데이콤의 시내전화 컨소시엄에 5% 지분을 참여하기로 결정한 것과 관련, 업계 일각에서는 『공동기술개발 등 당초 협의회 설립목적을 넘어서는 순수성을 져버린 처사』라고 뼈있는 한마디.
지난해 7월 순수 민간단체 성격으로 구성된 유망정보통신기업협의회는 출범 당시 기업체들간 기술협력 증진을 통해 취약한 국내 정보통신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취지였으나 설립된 지 반년이 넘도록 이렇다 할 공동기술개발이나 기술협력 등 본연의 업무 실적은 전무한 상황에서 시내전화서비스란 이권사업의 지분 5% 확보가 협의회의 첫 작품인 셈.
물론 협의회에 가입한 유망정보통신기업이 시내전화 컨소시엄에 참여함으로써 정보통신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부정적인 시각으로만 볼 수는 없지만 이권사업 챙기기에 협의회가 주도했다는 점에서 모양세가 그리 좋지 않은 것만은 사실.
<김위년기자>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시론]AI 패권의 새로운 질서
-
2
[ET단상] 양자와 AI 시대, K보안 도약을 위한 제언
-
3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4
[ET톡] AI와 2차 베이비부머의 미래
-
5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4〉AI '앱 경제'를 '에이전트 경제로' 바꾸다
-
6
[황보현우의 AI시대] 〈25〉고독한 사람들과 감성 AI
-
7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8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9
[GEF 스타트업 이야기] 〈57〉더 나쁜 사람 찾기, 손가락질하기 바쁜 세상
-
10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