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산권 분쟁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지난해 1월 설치된 산업재산권 분쟁조정위원회의 활동이 크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특허청이 국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 8월까지 산업재산권 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 신청건수는 총 6건에 불과했으며 이 가운데 조정이 이루어진 경우는 2건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허청은 분쟁조정위의 처리실적이 이처럼 크게 부진한 것은 분쟁당사자가 형사고소와 심판청구 등 강력한 대응방식을 선호해 조정제도의 활용에 소극적인 데다 산업재산권 분쟁에 있어 상담역할을 담당하는 변리사들이 보다 많은 수임료를 받기 위해 분쟁당사자들에게 조정제도보다 심판 등에 의한 분쟁해결을 권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또 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효력은 민법상의 화해계약에 그쳐 조정성립 후 당사자 일방이 계약을 불이행할 경우 다른 일방은 민사소송을 다시 제기해야 하는 등 조정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도 분쟁조정위원회의 활동을 위축시키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성욱기자>
경제 많이 본 뉴스
-
1
퇴직연금 실물이전 3개월간 2.4조원 '머니무브'···증권사 승기 잡았다
-
2
“북미 최대 농기계 박람회에서 우리나라 농업 기술과 혁신적 솔루션 뽐낸다” 대동, '세계 농업박람회'·'루이빌 농기계 전시회' 참가
-
3
네이버로 주식매매 가능해진다...금융당국 '위탁업무' 승인
-
4
[이슈플러스] 밈코인 10대 강자 수익률 보니 1만9000% 고공 행진…대폭락 위험도
-
5
'경기둔화 공포' 美 3대지수 급락세…'다우 1.7% 하락' 올들어 최대
-
6
[ET라씨로] 엔비디아 '블랙웰' 발열 문제…삼성공조, 수냉 수혜 기대감에 강세
-
7
'구글 지도 반출' 韓-美 통상이슈 확산 조짐
-
8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공매도, 내달 말 차질없이 재개한다”
-
9
현대카드, 신용판매액 격차 더 벌렸다…카드업계 춘추전국시대
-
10
페페메인넷, 테더와 협업···RWA 기반 스테이블코인 '페페테더 PUSDT' 출시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