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삼성그룹이 구미에 정보네트워크 센터를 개관, 본격 운영에 들어감에 따라 재계와 금융권을 중심으로 재해복구센터와 재해복구시스템에 대한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있어 주목.
사실 그동안 국내 업계나 공공기관에선 재해복구시스템이나 백업용 전산센터를 설치한 곳이 전무한 실정이어서 천재지변 등 재난에 무방비 사태였는데최근 발생한 서울시의 민방공 시스템이나 증권 전산시스템의 불통 등 갑작스런 사태로 백업센터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실정.
삼성에 이어 LG그룹·한국은행 등이 백업용 전산센터의 건립을 추진중이며한미은행·한국산업리스 등 금융기관은 재해복구센터를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 운영하고 있어 이 분야의 관심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전망.
〈장길수기자〉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단상]브랜드·상표 값이 억소리 난다…'상표가치평가 실무가이드'에 거는 기대
-
2
[ET단상] AX 기반 위험 예측형 플랫폼, 산업안전 패러다임 바꾼다
-
3
[ET톡]정보보호의 날 기념식 대통령 축사 대독 아쉬움
-
4
[ET대학포럼] 〈229〉난립 클러스터, '지속가능 혁신' 옷 입고 환골탈태할까?
-
5
[사이언스온고지신]전기차 캐즘, 하이브리드차 유행 뒤의 고민
-
6
[데스크라인] '실용의 첫걸음' 대한민국 에너지
-
7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24〉생성형 AI, 생산성 혁신하는 '기업의 뇌'로 진화
-
8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30〉제과업계의 미래 '어떤 콘텐츠로 연결되느냐'에 달려 있다
-
9
[임성은의 정책과 혁신] 〈20〉R&D 예산 복구, 치료없이 봉합만 반복
-
10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79〉부동산 정책, 인공지능을 활용하라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