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영재 교육 "속진제" 도입

현행 13개의 과학고를 설립취지에 맞는 과학영재 교육기관으로 만들기위해서 는 교육내용과 방법을 질적으로 고도화하고 교육과정과 실습실험 시설이 영재교육에 적합하도록 개발.실천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한 과학고 신입생중 소수의 희망학생에 대해서는 주요강대국의 과학고에국비유학생으로 파견하고 한국과학기술원 부속 과학고를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이 나왔다.

이같은주장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군현교수(교양과정학부 인문 사회과 정) 연구팀이 최근 한국과학재단에 제출한 "과학영재교육과 수학.과학올림피아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라는 보고서에서 제기됐다.

이박사팀은이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와 주요 강대국의 과학올림피아드 교육 현황 *주요 강대국의 과학영재 교육현황 *우리나라의 과학영재 교육 현황 *과학영재육성을 위한 관계 법률의 검토 등을 통해 일반 초.중.고, 과학고 수학.과학올림피아드 등 세차원에서의 과학영재교육 정책방향을 제시 했다이박사팀은 일반 초.중.고에서의 과학영재교육 정책방향으로 *각종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재평가하고 과학영재를 발굴해 이들을 위한 교육심화학습 프로그램을 실천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며 *과학영재들의 특성인 빠른 학습 속도에 맞춰 진도를 빠르게 하는 한편 교육기간을 단축하는 속진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들은이밖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교육과 현직 연수를 위한 제도적 노력 *과학영재를 육성.지원할 수 있는 가칭 "영재교육법" 제정의 재검토 *정부차원의 정책자문위원회 구성 *고교 재학생중 학업성적이 탁월한 학생들에게는 일반 대학 등에의 조기진학 기회 확대 등의 혜택을 주도록 추천했다. 한편 이박사팀은 과학고의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교육정책으로 *과학고 증가 지양 및 과학고 교육내용과 방법의 질 고도화 *교육과정과 실습실험 시설을 영재교육에 적합하도록 개발.실천 *교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연수 와 우수교사 유인체제의 마련을 들었다.

이들은또한 *과학고 신입생중 소수의 희망학생을 주요 강대국 과학고에 국비유학생으로 파견하는 방안의 검토 *한국과학기술원 부속 과학고 운영방안 의 검토 *학생선발에 있어 입시위주의 필기고사를 지양하고 사회. 국가적으로 공인할 수 있는 과학관련 전국대회 입상자를 특별전형으로 선발 하는 등 다양성 추구를 제안했다.

이박사팀은수학.과학올림피아드 대회를 통한 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으로 *수학.과학올림피아드가 주로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국제대회 이지만 기초가 되는 초.중 수준의 국내 대회 제도화 *올림피아드 출전자에대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교육훈련기관의 상설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