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용" (디지틀신호처리프로세서)"DSP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 음성 화상의 압축.신장등 멀티미디어분야에서의 시릿간처리, 디지틀 휴대전화에서 의 음성압축등 앞으로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를 겨냥한 신제품의 출시가 활기 를 띠고 있다. 미국 포워드 컨셉트사의 조사에 의하면 세계 범용DSP 시장은 지난해 7억달러에서 97년 20억달러로 급성장, 연 30%대의 신장이 전망된다.
DSP는애널로그신호를 디지틀신호로 변환해 실시간으로 고속처리하는 전용프 로세서로 80년대초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초창기에는 가격상의 문제로 모뎀 등의 통신이나 화상처리, 서브모터의 제어용등 용도가 한정되었으나 최근들 어서는 디지틀신호처리기술의 진전과 DSP기술을 응용한 전용칩의 개발 등에힘입어 칩의 가격도 하락, AV기기등 다양한 분야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현재DSP의 응용기술은 CD플레이어나 MD, CD영상가요반주시스팀등의 AV 기기 , 디지틀 방식의 차량.휴대전화, 팩시밀리등의 통신기기, 자동차 분야에서는앤티록 브레이크, 액티브 노이즈 컨트롤러등에 이용되고 있다.
DSP에는고정소수점형과 부동소수점형등 두종류가 있다. 방대한 연산을 필요 로 하는 화상처리등에서는 부동소수점형이 사용된다.
92년DSP시장 규모는 4억5천5백만달러였는데 그중 고정소수점형이 3억7천5백 만달러, 부동소수점형이 8천만달러로 구성되어 있다. 응용분야별로 보면 통신 37%, 이미지프로세싱 27%, 시그널 프로세싱 11%, 서브 컨트롤러 6%등 의 비율로 되어 있다.
그러나신호처리의 디지틀화, 저가격화에 힘입어 앞으로 응용 분야는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보이고 있으며 그동안 별로 채용되지 않았던 가전기기용을 중심으로 용도별 구성비율도 크게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범용DSP시장의 반도체업체별 점유율에서는 미국업체들이 압도적인 강세 를 나타내고 있다. 92년의 경우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I)사가 46.7%로 선두 고 다음이 AT&T, 모토롤러, 애널로그 디바이시스이며 일본 NEC는 8.4% 를차지했다. 형별 점유율은 부동소수점형의 경우 TI가 70%, 인텔이 10~3%이고 고정소수 점형에서는 TI가 약 55%, 모토롤러와 애널로그 디바이시스가 각각 22%, 14 %로 나타났다.
각업체들이 최근 주력하고 있는 분야는 디지틀휴대전화용. 디지틀화의 진전으로 종래의 회로블록에 스피치코딕, 채널코딕, 베이스밴드 코딕등이 부가되 는데 이들을 DSP가 담당한다.
일본TI에따르면 일본의 경우 세계적인 디지틀화의 진전, 단말기의 판매자유 화등으로 금년부터 휴대전화의 생산이 급격히 증가, 2000년에 연산 규모가 6백5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때문에DSP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미국업체들은 물론 일본반도체 업체들도 휴대전화용 DSP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일본TI는이동통신시장을 겨냥한 고성능.저소비전력의 DSP를 일본에서 설계 , 시장에 내놓았다. 이 제품은 2V에서도 50나노초의 고속처리를 실현하고 있다. NEC도 최근 3V동작에서 밉스당 소비전력을 3.8mW로 하고 스탠바이모드 등의 채택으로 종전제품보다 배터리동작시간을 10배나 길게 할 수 있는 DSP를 출시했다. 후지쯔도 금년 가을을 목표로 저소비전력형을 제품화할 예정이다.
신제품출시와함께 고성능DSP의 시리즈화도 활발하다. 특히 이것은 연산능력 이 높기 때문에 멀티미디어기능을 소프트웨어로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TI나 모토롤러를 중심으로 고성능DSP뿐아니라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시스팀제 안도 적극화하고 있다.
TI는IBM, 인터매트릭스사와 손잡고 멀티미디어용 DSP "Mw-ave" 를 제안했으며 지난해에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OS환경에서의 플랫폼으로 PC상에서의 멀 티미디어대응을 추진했다.
또한TI는 최근 소프트웨어로 여러가지 국제규격에 대응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비디오 프로세서(MVP)로 불리는 풀 프로그래블DSP를 발표했으며 FPU를 결합한 축소명령어컴퓨팅(RISC)프로세서, 4개의 32비트DSP, 트랜스퍼 컨트롤러 비디오 컨트롤러, S램등을 원칩화해 초당 20억오퍼레이션을 실현한 신제품 도 출시할 예정이다.
모토롤러는데스크톱형 PC에 멀티미디어기능을 용이하게 부가할 수 있는 DSP를 기본으로 한 "PC미디어"를 제공할 계획이다. 모토롤러나 제3자가 개발한 소프트 웨어를 부가하면 이 DSP는 팩시밀리, 모뎀, 전화, 오디오 엔진, 보이 스 프로세서등의 기능을 갖출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활용, 전용커스텀IC 를이용하지 않고 범용DSP상에서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데스크톱형PC상에서 멀티미디어기능을 구축하기 위한 DSP기술은 앞으로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제 많이 본 뉴스
-
1
자폭 드론을 막는 러시아군의 새로운 대응법? [숏폼]
-
2
온순한 혹등고래가 사람을 통째로 삼킨 사연 [숏폼]
-
3
“2032년 충돌 가능성 2.3%”… NASA 긴장하게 한 '도시킬러' 소행성
-
4
'러시아 최고 女 갑부' 고려인, 총격전 끝에 결국 이혼했다
-
5
드론 vs 로봇개… '불꽃' 튀는 싸움 승자는?
-
6
팀 쿡 애플 CEO, 오는 19일 신제품 공개 예고… “아이폰 SE4 나올 듯”
-
7
오드리 헵번 죽기 전까지 살던 저택 매물로 나와...가격은? [숏폼]
-
8
“30대가 치매 진단에 마약 의심 증상까지”… 원인은 보일러?
-
9
"불쾌하거나 불편하거나"...日 동물원, 남자 혼자 입장 금지한 까닭
-
10
매일 계란 30개씩 먹는 남자의 최후 [숏폼]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