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무선양자통신 성공…후속 R&D 예산 '캄캄'

세계 각국이 양자암호통신 기술 경쟁에 나선 가운데 우리나라도 무선 통신시험에 성공했다. 양자암호통신은 빛의 입자인 '광자'에 정보를 실어 나르는 기술로, 해킹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정부가 연구개발(R&D) 예산 투입을 미루고 있어 후속 연구 차질이 우려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원장 이병권)은 지난 2일 경기도 수원시 한국나노기술원(KANC)에서 한국과학기자협회와 세미나를 열고 지난해 12월 무선양자암호통신 송·수신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Photo Image
한상욱 KIST 양자정보연구단 박사가 양자암호통신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KIST)

연구팀은 건물 1층 실내에 송신부를 설치하고, 레이저로 정보를 전달해 50m 떨어진 건물 외부에서 수신했다. 광케이블 없는 곳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무선 양자암호통신'이다. 짧은 거리지만 우리나라도 기술 경쟁에 뛰어들 수 있는 '기본기'를 확인했다.

한상욱 KIST 양자정보연구단 박사는 “앞으로 통신 거리를 늘리고, 송신부나 수신부 중 한쪽을 이동시키며 통신하는 연구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자암호통신의 가장 큰 장점은 보안성이다. 신호가 무작위로 생성되고 딱 한 번만 읽을 수 있다. 기간통신망은 물론 행정·국방·금융·의료 다방면에서 활용이 기대된다.

Photo Image
양자암호통신 실험 설비 (사진=KIST)

중국이 빠르게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2016년 세계 최초 양자암호통신위성 '묵자'를 발사했다. 지난해 위성을 활용해 베이징에서 오스트리아 빈까지 무선 양자암호통신에 성공했다. 실제 통신 거리는 약 1200㎞로 추산된다.

중국은 2020년까지 세계 최대 양자연구소 건설에 13조원을 투입한다. 일본도 2022년 양자통신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올해 예산 수립 과정에서 관련 R&D 예산을 삭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8년짜리 R&D 계획을 내놨지만 기술 개발 성공 가능성, 경제성을 들어 예산을 배정하지 않았다.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도 후속 연구 환경이 조성되지 않아 기술 경쟁에서 '실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KIST 사례만 보더라도 통신 거리를 늘리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지만 당장 이 연구가 차질을 빚는다. 고고도 정찰기 응용, 위성 양자통신 기술은 엄두도 못 낸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