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게임업계를 대상으로 성차별 조사를 시작한다. 고용과 게임 내 콘텐츠 성상품화 등 광범위한 분야가 대상이다.

30일 여성가족부는 '게임문화산업 특정성별영향평가'를 한다고 밝혔다. 연말까지 조사를 완료한다. 게임업계를 대상으로 한 특정 성별영향평가는 처음이다.

게임업계 여성 종사자 현황과 근로실태를 파악한다. 영역별(기획, 프로그래밍, 아트, 마케팅 등) 기업규모별 여성 종사자 현황, 고용차별 경험 등을 조사한다. 여성 종사자 고용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게임산업 전문인력 양성과정에서 성별 불균형이 있는지 살펴본다.

문화적 측면에서 게임 콘텐츠 성차별적 요소와 게임 이용 환경에서 성차별 실태를 조사한다. 성평등에 기초한 게임개발 지원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조사를 바탕으로 여가부 차관이 위원장인 중앙성별영향평가위원회에서 권고 사항을 정리한다. 여가부 관계자는 “위원회에서 권고사항이 나오면 문화체육관광부, 고용노동부와 정책 개선을 협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조사는 개선권고를 목적으로 한다”면서 “게임인력 양성과정에서 성인지력 제고 교육 실시, 정부지원 사업 여성 참여 확대, 성평등한 게임개발 지원 방안 등 다양한 권고가 나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여가부의 이번 조사는 2016년부터 이어진 게임업계 '페미니즘 사상검증' 논란과 무관치 않다. 일부 여성 커뮤니티는 지난해부터 페미니즘 게시물을 공유한 것을 문제삼아 원화 작가를 교체한 게임사를 대상으로 항의를 이어갔다.

이 문제는 청와대 청원에도 올랐다. 올해 4월과 5월에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에 연달아 올라온 '게임업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성차별적인 사상검증 및 검열 행위에 대한 조사를 촉구한다'는 청원은 5만명 가까운 지지서명을 받았다.

2016년 게임백서에 따르면 게임업무 종사자 중 남성은 82.3%, 여성은 17.7%다. 여성은 기획자나 프로그래머가 아닌 디자이너 비중이 높다.

여가부는 “여성 게임 이용률은 65.5%로 남성 75.%과 차이가 크지 않지만 게임 산업이 남성 중심적”이라면서 “특히 게임 기획, 프로그래밍 등 핵심영역에서 여성 인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김시소 게임 전문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