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 '비대면 유통' '홈코노미'가 코로나19 종식 이후 부상할 국내 3대 서비스 트렌드로 제시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4일 발표한 '포스트 코로나, 변화하는 국내 서비스업 생태계'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서비스업 국내총생산(GDP)은 코로나19 여파로 전 분기 대비 2% 감소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운수(-12.6%), 도소매·음식·숙박(-6.5%), 문화(-6.2%) 등 대면 업종이 타격을 받은 가운데 정보통신업(5.9%)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서비스업 경기는 정부 경기부양과 보복 소비 등 효과가 나타날 하반기부터 서서히 회복될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확대에 주목했다. 온라인 경제 활동이 늘어나면서 지난 1~3월 무선데이터 트래픽은 작년 동기 대비 45.6% 증가, 역대 최다인 183만테라바이트(TB)를 기록했다.

앞으로 재택근무, 온라인 개학, 원격강의가 확산되는 것은 물론 외부에서 다중동시접속이 가능한 클라우드, 원격 솔루션, 5세대 이동통신(5G) 등 첨단기술 수요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봤다.

비대면 유통 서비스 확대도 예상된다.

전염병 여파로 1분기 백화점(-19.4%), 대형마트(-2.9%) 판매액은 감소했지만 인터넷, 홈쇼핑 등 무점포 판매는 7.6% 증가했다. 택배, 온·오프라인 연계(O2O), 드라이브 스루 등 지원 서비스 성장도 기대된다.

가정에서 여가를 보내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영화 및 음악 스트리밍, 게임 등의 매출도 증가했다. 1인 가구 비중이 2019년 29.8%에서 2025년 32.3%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가전 렌털, 출장 청소 등 홈케어와 여가용 콘텐츠 등 '홈코노미' 산업이 주요 소비 트렌드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됐다.


심혜정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코로나19에 따른 변화는 글로벌 소비 트렌드로 정착할 것”이라면서 “우수한 IT를 보유한 스타트업, 영화 및 게임 등 국내 문화 콘텐츠 기업들이 해외 진출에 적극 나서볼 만하다”고 강조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