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에서도 대기업의 사내벤처 창업을 2018년부터 측면 지원하고 있다. 주요 대기업의 사내벤처 육성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며 본격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단순 창업 단계의 지원 뿐만이 아니라 중장기 차원의 지원 체계가 수립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기부는 사내벤처팀을 발굴·육성할 민간 운영기업을 공모해 정부와 민간이 1대 1로 자금을 매칭해 육성재원을 마련하고 있다. 사내벤처팀과 분사창업기업을 구분해 최대 3년까지 사업화, 연구개발(R&D), 사업화 실증 등을 지원한다.

창업진흥원은 올해도 지난달부터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 운영기업 모집을 개시했고 지난 16일부터는 사내벤처 전담 액셀러레이터를 모집하고 있다.

이미 삼성전자, LG이노텍, 우리금융지주, 현대자동차, LG CNS, 롯데액셀러레이터, LS전선, 신한카드, LG유플러스, 이노션,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SK텔레콤 등 13개 대기업 및 금융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중견기업도 11개사, 중소기업은 18개사가 사내육성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13군데 공기업도 이 프로그램을 통해 사내벤처를 지원한다.

대기업의 사내벤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이 올해로 3년째를 맞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이 업계 안팎의 분위기다. 정부에서는 사내벤처 창업을 통한 신규 일자리 창출과 창업 생태계 조성이라는 측면에서 사내벤처를 지원하고 있지만, 기업에서는 혁신과 신사업 창출을 위한 기회로 우선 인식하고 있어서다.

이렇다 보니 성장에 따른 지분율 희석, 신사업 확장에 따른 모기업의 영향력 확대 등 현실적 문제도 크다. 기존 사내벤처 창업자 상당수는 모회사와는 큰 관련이 없으면서도 독자 사업만으로도 독립이 가능한 사업 모델을 구축하는 방향을 선호하는 분위기다.

한 사내벤처 창업자는 “대기업 문화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지만 내부 임원진이나 초기 자금을 댄 회사 관계자의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은 한계”라면서 “추후 사업이 잘 돼 외부에서 추가 투자를 유치할 경우 지분율을 어떻게 산정해야 하는지 등 기존 회사와 갈등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업계 안팎에서는 대기업의 사내벤처 활동에 대한 장기 차원의 정부의 명확한 목표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실제 정부 일각에서는 사내벤처가 이름만 대기업이 스타트업으로 이름만 바꿔 단 것에 불과하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일부 기업에서 실제 사내벤처와 유사한 활동을 수행하면서도 각종 규제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김영수 벤처기업협회 전무는 “앞으로는 창업 자체에 집중해 사내벤처를 지원하기 보다는 사내벤처가 스케일업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는 것이 과제”라고 말했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