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캐나다서 양자 협력 모색하고 우리기업 알려...'글로벌 브릿지' 놓았다

Photo Image
강선준 KIST 기술사업화 실장(오른쪽)이 2025 퀀텀 나우 콘퍼런스 현장에서 양자분야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와 우리 양자 유망 기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원장 오상록)이 캐나다에서 개최된 국제 양자 콘퍼런스에 공식 초청돼, 우리 양자 기술과 기업을 소개하고 협력을 모색했다.

KIST는 18~19일(현지시간) 이틀간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열린 '2025 퀀텀 나우'에 참가해 양자 기술 협력 물꼬를 텄다고 밝혔다.

퀀텀 나우는 세계 양자 기술·산업 분야 주요 인사 400여명만을 초대해 진행하는 행사다.

KIST는 중소벤처기업부·창업진흥원 후원으로 유망 기업을 육성하는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의 양자 기술 분야 주관기관이다. 캐나다 국립연구위원회(NRC) 공식 초청을 받아 우리 기업과 한국 사절단을 구성, 현지에서 주요국 사절단과 공동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해 10월부터 KIST와 주한 캐나다 대사관이 공동 기획한 '초격차 글로벌 브릿지' 프로그램 일환이다.

한국 사절단은 주한 캐나다 대사관, NRC, 퀀텀밸리아이디어스 랩, 워털루대 산하 양자컴퓨팅연구소(IQC) 등 다양한 현지연구·산업기관 후원 아래 워털루 및 셔브룩 지역 양자 생태계와 스타트업 현장을 탐방했다. 캐나다 양자기술 중심지인 IQC를 비롯해 C2MI, Pasqal 등 주요 연구기관·기업을 방문했다.

Photo Image
강선준 실장이 퀀텀나우 행사 중 초격차 사업을 소개하고 있다.

초격차 2기 선정기업인 슬릭스, 큐렌스, 쿼드 및 사이버 시큐리티, 신약개발 분야 등 국내 유망 스타트 기업들도 사절단에 합류, 다양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장 뤽 에베르 NRC 양자 최고책임자 및 산업기술자문관(ITA)은 “양자 분야에서 한국과의 활발한 국제공동연구가 필요하며, KIST를 중심으로 협력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는 KIST가 오는 9월 서울에서 주관하는 '2025 퀀텀 넥서스' 콘퍼런스 기조연설자로 참석할 예정이다.

프로그램을 공동 기획한 강선준 KIST 기술사업화실장과 주한캐나다 대사관 상무과 측은 “6·25 전쟁 당시 캐나다는 한국의 자유를 지키고자 2만6000여 명 병력을 파견한 우방국”이라며 “이번 협력은 역사적 신뢰를 바탕으로 양국이 양자기술이라는 미래 전략 분야에서 새로운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