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추천제 새 정부 인재 발굴 '키' 될까…7만여건 두고 옥석 가리기 시작

Photo Image
이재명 대통령, 국무회의 주재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5.6.10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끝)

이재명 정부가 장·차관, 공공기관장의 후보자 발굴을 위해 도입한 '국민 추천' 접수가 16일 마감됐다. 7월 개각설에 힘이 실리는 가운데 국민 추천제도가 새정부의 인재 등용의 핵심 통로로 부상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에서 “이재명 정부의 진짜 일꾼 찾기 프로젝트 '국민 추천제'가 오늘 오후 6시에 마감된다”고 밝혔다.

국민 추천제는 장·차관, 공공기관장 등 대통령이 임명하는 주요 공직 후보자에 대한 '국민 추천'을 받기위해 지난 10일부터 시작했다. 첫날 1만1324건을 시작으로 15일까지 총 7만4000여건의 추천이 접수됐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첫날 기준 법무부·복지부 장관순으로 추천이 집중됐다.

정부는 국민주권 정부라는 기치에 걸맞게 도입한 '국민 추천' 취지를 살리기 위해 내각 구성에 이번 결과를 최대한 반영할 방침이다. 국민 눈높이에 맞는 인재 등용을 통해 정책 집행의 추동력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 국민이 추천한 후보를 발굴한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논란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정부는 추천 횟수보다는 전문성, 추천 사유가 핵심 검증 대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내각에 당장 추천 인사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추후 인사에 활용할 방침이다.

강 대변인은 “국민 추천제는 국민 주권 시대를 열어갈 진짜 일꾼을 찾으려는 취지라는 점을 다시 강조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역동적이고 좋은 인재가 발굴되길 바란다”면서 “국민 추천제는 인기투표가 아닌 만큼 추천 횟수는 단순한 참고 사항으로 추천 사유가 더 중요한 판단 요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추천받은 인재는 이번에 임용이 되지 않더라도 인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이 대통령의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순방 이후 내각 구성에 본격 착수하는 만큼 7만여건을 대상으로 옥석가리기 작업도 본격 시작된다.

부처 관계자는 “정부 초기 개각 인사는 정부의 정책 방향과 기조를 나타내는 바로미터”라면서 “ 내각 구성과 관련해 논란이 크지 않을 경우 새 정부의 새로운 인사 실험이 성공했다는 평가와 함께 국민 추천제의 실효성에 대한 인식도 크게 제고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