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 시장조사기관 가트너가 에이전틱 AI 시대에 주목해야 할 기술로 '가디언 에이전트(Guardian Agents)'를 선정했다.
가트너는 2030년까지 가디언 에이전트가 전체 에이전틱 AI 시장의 최소 10~1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가디언 에이전트는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한 AI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AI 기반 기술로, 사용자의 콘텐츠 검토, 모니터링, 분석 등을 돕는 AI 어시스턴트 역할을 수행한다. 동시에 자율 에이전트로서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하며, 사전 정의된 목표에 따라 동작을 조정하거나 차단한다.
에이전틱 AI의 활용이 지속 증가하면서, 이를 통제하기 위한 '가드레일'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가트너가 최고정보책임자(CIO) 및 IT 부서 리더 1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신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24%는 12개 미만의 AI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있으며, 4%는 이미 12개 이상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0%는 현재 AI 에이전트 기술을 연구하거나 실험 중이라고 답했으며, 17%는 늦어도 2026년 말까지 이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I 에이전트를 일관되고 안전하게 운용하기 위해서는 신뢰, 위험 및 보안에 대한 자동화된 제어 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가디언 에이전트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아비바 리탄 가트너 수석 VP 애널리스트는 “적절한 가드레일 없이 에이전틱 AI를 사용할 경우, 원치 않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며 “가디언 에이전트는 광범위한 에이전틱 AI 기능과 AI 기반의 결정론적 평가를 활용해 모든 에이전트 기능을 관리 감독하고, 런타임 의사결정과 위험 관리의 균형을 맞춘다”고 강조했다.
가트너는 가디언 에이전트는 활용 유형과 관계없이 상호작용 및 이상 징후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러한 기능은 가디언 에이전트 통합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며, 가트너는 2028년까지 AI 애플리케이션의 70%가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을 도입할 것으로 예측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