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 갤럭스가 한올바이오파마와 항암 항체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전략적 공동 연구를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두 회사는 복잡한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 항체 치료제를 AI로 정밀하게 설계하는 것을 이번 협업 목표로 삼았다. AI로 설계한 항체를 바탕으로 약효는 극대화하며 부작용은 최소화한 치료제를 함께 개발한다.
갤럭스는 단백질 구조의 물리화학적 원리를 학습한 단백질 설계 AI 플랫폼 '갤럭스디자인'을 이번 협업에 활용한다. 갤럭스디자인은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항체를 처음부터 설계할 수 있다. 전통적 방법으로는 어려웠던 정밀 약물분자를 확보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갤럭스는 지난 3월 6개 신약 타겟에 대해 신규 항체를 AI로 설계하는 데 성공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최근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 중인 바토클리맙이 일본에서 갑상선안병증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고, 중증근무력증 임상 3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보하는 등 항체·단백질 치료제 사업 확대에 나서고 있다.
두 회사는 이번 공동 연구를 거쳐 차별화된 항체 치료제 도출·검증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석차옥 갤럭스 대표는 “갤럭스의 독자 AI단백질 설계 기술은 기존 업계가 직면하고 있던 신약 개발 과제에 새로운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면서 “이번 협업으로 기술 강점이 잘 발휘돼 유의미한 연구 성과를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안혜경 한올바이오파마 연구본부장은 “한올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약개발 혁신을 지속 추진해왔으며, 이번 협업은 그 전략적 연장의 일환”이라면서 “갤럭스와의 기술적 시너지 효과 창출로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