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가 세계적으로 7시간 정도 장애 끝에 복구됐다.
오류율 증가와 서비스 지연에 따른 장애 발생 정도로 원인이 설명된 가운데, 서버 과부하 또는 내부 인프라 문제 발생 등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11일 오픈AI 측에 따르면 서비스 장애는 미국 동부 현지시간 기준 10일 오전 3시(한국시간 10일 오후 4시)를 전후해 시작됐다. 유·무료 챗GPT는 물론, AI 영상 생성 모델 '소라(SORA)'와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등 오픈AI 서비스 전반에 장애가 발생했다.
챗GPT 등 서비스 오류율이 늘어나고 답변 시간이 지연됐으며 일부 기능은 작동하지 않았다. 일부 사용자는 2~3시간 만에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지만 전체 시스템 안정화까지는 6~7시간 정도 소요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무료 서비스의 경우 평소보다 답변 대기 시간이 길어지거나 답변을 제공하지 못했다. 유료 서비스도 '메시지 스트림에 오류 발생', '무엇인가 잘못됐다', '동시 요청이 너무 많다' 등 반응을 보이며 서비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인터넷 모니터링 사이트 다운디텍터에 따르면 서비스 장애는 7시간 이상 동안 지속됐다. 시간이 지날수록 장애가 확대되며 2000건 이상 장애 신고가 접수됐다.
오픈AI는 서비스 장애 당시 원인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고 '근본 원인을 파악했고 완화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각에서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내부 인프라 성능 저하 등 문제 발생, 서버 과부하, 인증 시스템이나 로드 밸런싱 이슈, 업데이트 또는 코드 변경 등이 장애의 원인일 것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오픈AI 한국 관계자는 “한국시간 기준 10일 저녁부터 밤 사이 서비스 장애가 발생했다”며 “정확한 장애 원인은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챗GPT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생성형 AI 서비스다. 세계적으로 주간 활성 이용자 수는 5억명 수준이며 이달 기준 기업 유료 고객은 총 300만개사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