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솔리드파워, 충주에 전고체 배터리 라인 구축

경험 풍부한 韓장비업체 협력
자동화·양산 경쟁력 강화 포석
SK온과도 기술개발 협업 활발

Photo Image
최근 BMW i7에 도로 주행 테스트를 위해 장착된 솔리드파워의 전고체 배터리 셀 (BMW 제공)

미국 전고체 배터리 업체 솔리드파워가 한국에 전고체 배터리 라인을 구축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배터리 제조 경험이 풍부한 한국의 장비회사들과 협력해 양산 경쟁력을 끌어올리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솔리드파워는 국내 이차전지 개발·생산 관련 컨설팅 업체인 다해에너지와 협력해 충주에 전고체 배터리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국내 복수 장비사들이 다해에너지로부터 수주를 받아 해당 생산라인에 들어갈 장비를 공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규모는 초기 투자인 만큼 시험 생산을 할 수 있는 '파일럿 라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파일럿 라인은 대량 생산 전 제품의 품질과 성능 등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하는 곳이다.

고체 전해질과 전고체 배터리 셀을 자동화된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완성하려는 목적으로 해석된다.

Photo Image
솔리드파워 전고체 배터리 셀을 탑재한 BMW 테스트 차량 i7 (BMW 제공)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대체한 배터리다. 화재 안전성이 높고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유리해 리튬이온 배터리의 용량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다.

솔리드파워는 2011년 미국 콜로라도대학교에서 분사한 회사로 황화물게 고체전해질 제조 기술과 대용량 전고체 배터리 셀 기술을 가진 업체다. 전고체 배터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앞선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 중 하나로 꼽혀 SK온, BMW, 포드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으며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솔리드파워가 충주를 택한 건 SK온과의 협력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SK온은 지난 2021년 솔리드파워에 3000만달러(약 410억원)을 투자하며 전고체 배터리 개발 협력을 시작했다.

지난해에는 기술이전 협약을 맺고 솔리드파워가 보유한 전고체 배터리 셀 설계 및 파일럿 라인 공정 관련 기술을 연구개발에 활용하기로 했다.

솔리드파워는 충주에서 기술 수준을 끌어 올리고 SK온에 이전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으로 관측된다.

솔리드파워 관계자는 “한국의 배터리 제조사를 지원하기 위해 한국 엔지니어링 서비스 제공 업체, 여러 한국 장비 업체와 협력하고 있다”면서 “다만 자체적으로 사용할 목적의 추가적인 파일럿 라인을 구축할 계획은 없으며 배터리 셀을 대량 생산할 계획도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정현정 기자 ia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