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 단기 채권 사태에 대한 검찰 수사가 본격화된 가운데 홈플러스가 사전에 회생절차를 준비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자신들은 매입채무유동화 전자단기채권(ABSTB) 거래 당사자가 아니며 오히려 채권을 판매한 신영증권의 불완전판매행위를 규명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홈플러스는 21일 입장문을 내고 “당사와 주주사(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을 예견하지 못했다”며 “회생절차 또한 미리 준비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홈플러스는 회생 신청 직전 과정에 대해 △2월 25일 오후 4시 신용등급 하락 예정 사실 최초 통지 △2월 26일 오후 2시 한국기업평가 담당자 면담 △2월 27일 오후 신용등급 하락 확정 △2월 28일 오후 회생신청 서류 작업 실무 착수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을 예견했다면 자금보충약정과 상환전환우선주 조건 변경은 지난 2025년 2월 신용 정기 평정 심사 이전에 제시됐어야 한다”며 “25일 예정 통지를 받은 후에야 이러한 조치를 취했다는 것은 등급 하락을 사전에 예견하지 못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주사 담당 직원은 지난 2023년 대형 유통사에 회생절차가 적합한 지 여부에 관해 일회성 자문을 구했다”며 “자문 내용이 현실성이 부족해 중단됐고 이번 3월 회생 절차 개시 신청과 아무런 관련성이 없다”고 단언했다.
ABSTB 판매 책임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채권 발행·판매·재판매 거래 당사자가 아니며 해당 거래에 관여한 바도 없다는 입장이다.
홈플러스는 “ABSTB는 신영증권이 만든 특수목적법인이 카드사로부터 홈플러스 상품거래 카드 채권을 실질적으로 인수한 후 투자자에게 발행한 금융투자 상품”이라며 “당사는 발행 규모에 대해 사전에 확인을 받기만 했으며 신영증권이 ABSTB를 재판매한 사실에 대해 알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신영증권은 당사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한 지난 2월 28일 이후에도 계속 ABSTB를 판매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그 과정에서 불완전판매행위가 없었는지도 규명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홈플러스는 “주주사는 당사로부터 ABSTB 발행 규모 등에 대해 정보를 받았을 뿐”이라며 “ABSTB 발행과 관련해 어떠한 의사결정이나 경영진에 대한 지시를 하지 않았으며 관여한 바 없다”고 일축했다.
민경하 기자 maxkh@etnews.com